세무소식지
-
멕아이씨에스, 주가 +10.06% 상승 중... 거래량 급증2022.11.07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업체인 멕아이씨에스[058110]는 7일 오후 12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10.06% 오른 42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10.4%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멕아이씨에스의 2021년 매출액은 493억으로 전년대비 -27.6%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06억으로 전년대비 -64.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8%, 하위 19%에 해당된다. [그래프]멕아이씨에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멕아이씨에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0년 51억원보다 -35억원(-68.6%)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1%를 기록했다. 멕아이씨에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0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멕아이씨에스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멕아이씨에스는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11/01 [지분변동공시]미래에셋자산운용㈜-1.39%p
-
메디아나, 주가 +10.3% 상승 중... 거래량 급증2022.11.07
글로벌 환자관찰장치, 자동심장제세동기 전문기업인 메디아나[041920]는 7일 오후 12시 49분 현재 전날보다 10.3% 오른 5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49.9%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 거래원은 삼성증권, 키움증권, 한국증권 등이 매수 상위 창구에 자리하고 있다. 한편, 매도 창구 상위에는 JP모건이 눈에 띄고 있다. 이 시간 한국증권이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웨이브일렉트로, 신한 인버스 2X 천연가스 선물 ETN 등이 있다. [표]메디아나 거래원 동향 메디아나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9% 줄어든 568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47.3% 줄어든 8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3%, 하위 24%에 해당된다. [그래프]메디아나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메디아나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0년 26억원보다 -10억원(-38.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
-
폴라리스세원, 거래량 증가하며 주가 상승... 주가 +7.95% ↑2022.11.07
자동차 엔진용 부품 제조업체인 폴라리스세원[234100]은 7일 오후 12시 48분 현재 전날보다 7.95% 오른 210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46.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추세선으로 보면 중기 추세상으로는 역배열 구간에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정배열 구간에서 상승흐름을 이어왔다. 이 종목의 차트에서 최근에 삼선전환도(양전환),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폴라리스세원 일봉 차트 폴라리스세원은 2021년 매출액 975억원과 영업이익 -1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5.3%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1%, 하위 12%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19.8%(161억 5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폴라리스세원 연간 실적 추이 폴라리스세원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20년 20억원보다 -19억원(-95.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
[부고] 신광석(누리인포스 상무)씨 모친상2022.11.07
▲ 고인 : 노서분 씨 ▲ 별세 : 2022년 11월 7일 오전 6시 ▲ 빈소 : 이대목동병원 특2호실(7일 오후 3시부터 조문 가능) ▲ 발인 : 2022년 11월 9일 오전 7시 ▲ 전화 : 02-2650-2742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폴라리스우노, 주가 +9.26% 상승 중... 최근 5거래일 최고 거래량 돌파2022.11.07
가발용 원사, 전자재료 제조업체인 폴라리스우노[114630]는 7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전날보다 9.26% 오른 956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17.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중기 추세상으로는 역배열 구간에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정배열 구간에서 상승흐름을 이어왔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폴라리스우노 일봉 차트 폴라리스우노의 2021년 매출액은 670억으로 전년대비 37.0%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58억으로 전년대비 11.2%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0%, 하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0년 보다도 37.0%(180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폴라리스우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폴라리스우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억원으로 2020년 7억원보다 6억원(85.7%) 증가했다. 이는
-
[포토뉴스] 국세청, 제2차 한·중남미 디지털 조세행정포럼 개최2022.11.07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세청(청장 김창기)이 미주개발은행과 함께 7일부터 10일까지 중남미 5개국 국세청장 등이 참석한 제2차 한·중남미 디지털 조세행정포럼을 개최한다. ‘조세행정의 디지털화’를 주제로 진행하는 이번 포럼은 올해는 한국과 중남미 15개국이 수교한 지 60년이 되는 해를 맞이해 중남미 국가들의 세무행정 시스템 구축을 지원함으로써 양자간 협력과 우호관계를 다지는 발판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세청, 중남미 5개국에 디지털 조세행정 노하우 공유2022.11.07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세청(청장 김창기)이 미주개발은행과 함께 7일부터 10일까지 중남미 5개국 국세청장 및 15개국 고위공무원 등 50여 명이 참석하는 제2차 한·중남미 디지털 조세행정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조세행정의 디지털화’를 주제로 미래에 조세행정이 나아갈 방향과 기회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세부적으로는 ▲포스트 펜데믹 시대의 조세행정의 위기와 기회 ▲홈택스 및 전자세금계산서 ▲조세행정 현대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적용 ▲납세자 정보관리 및 디지털 보안 관리 등에 대해 심도있는 토론이 이뤄진다. 김창기 국세청장은 “조세행정의 디지털화는 코로나 대유행 이후 전세계 과세당국의 중요한 화두”라며 선진화된 전자세정으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조세 수입을 조달한 이 중남미 전자세정의 선진화의 중요한 동반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국세청은 중남미 국세청 측에 현지 진출기업의 이중과세 해소 등 세무애로 해소에도 함께 나설 것을 제안했다. 김 국세청장은 포럼 참석자들에게 한국의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한 지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올해는 한국과 중남미 15개국이 수교한 지 60년이 되는 해로 한국 국세청은 향후 전자세정 노
-
조이시티, 최근 5거래일 거래량 최고치 돌파... 주가 +7.57% ↑2022.11.07
온라인·모바일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전문업체인 조이시티[067000]는 7일 오전 11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7.57% 오른 4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8.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조이시티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1.7% 늘어난 2013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6.5% 늘어난 21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6%, 하위 4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조이시티 연간 실적 추이 조이시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2억원으로 2020년 0원보다 72억원(1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50.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5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조이시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0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72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표]조이시티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
[인사] 코오롱그룹 대표이사·임원 승진2022.11.07
◇일시 : 2022년 11월 7일자 ◇ 대표이사 내정·승진 ▲ 코오롱인더스트리 대표이사 사장 김영범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대표이사 사장 이규호 전철원 ▲ 코오롱글로텍 대표이사 부사장 방민수 ▲ 코오롱플라스틱[138490] 대표이사 부사장 허성 ▲ 코오롱베니트 대표이사 부사장 강이구 ◇ 임원 승진 [㈜코오롱] ▲ 전무 안상현 ▲ 상무보 설성헌 오범용 [코오롱인더스트리] ▲ 부사장 이범한 ▲ 전무 변재명 조항집 ▲ 상무 김수현 나승태 노수용 이연준 이정준 전용주 정일 조은정 ▲ 상무보 김경태 김의수 송광선 이광식 조세현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 ▲ 부사장 송승회 한경애 ▲ 상무 박성철 이지은 김정훈 ▲ 상무보 김수정 박재현 홍성택 [코오롱글로벌] ▲ 부사장 박문희 ▲ 상무 류재익 ▲ 상무보 이영찬 정희봉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상무보 김휘규 [코오롱글로텍] ▲ 상무 박순언 정덕용 ▲ 상무보 류광택 [코오롱플라스틱] ▲ 부사장 김민태 ▲ 상무 이도근 ▲ 상무보 정홍령 최진상 [코오롱베니트] ▲ 상무 전선규 ▲ 상무보 정상섭 정주영 [코오롱생명과학] ▲ 상무보 조정종 [LSI / MOD] ▲ 상무 문명한 ▲ 상무보 허진영 [코오롱오토모티브] ▲ 상무보 한우준
-
미코, 주가 +6.69% 상승 중... 거래량 급증2022.11.07
반도체장비 부품 제조 및 세정/코팅 전문업체인 미코[059090]는 7일 오전 11시 27분 현재 전날보다 6.69% 오른 97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1.9%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현재 단기·중기 이평선이 정배열 상태로 전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미코 일봉 차트 미코는 2021년 매출액 3655억원과 영업이익 69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0.1%, 영업이익은 60.8%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6%, 상위 3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미코 연간 실적 추이 미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02억원으로 2020년 112억원보다 290억원(258.9%)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64.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6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
대구세관, 대구 아시아 공기총선수권대회 적극 지원 나서2022.11.07
(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대구세관이 오는 9일 대구에서 열리는 '아시아공기총선수권대회' 참가 선수단의 경기용 총기류 등을 신속하게 통관하는 등 관세행정 지원에 나섰다. 대구본부세관(세관장 주시경)은 7일 '2022 대구아시아공기총선수권대회'에 대비해 참가 선수단의 경기용 총기류 및 휴대품의 신속하고 안전한 통관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 통관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에서는 선수단의 신속한 휴대품검사와 통관을 위해 선수단 전용검사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입국장 안에 전용검사대 2대를 운영하고 입국 규모에 띠라 추가 운영한다. 총기류의 안전한 반출입을 위해 세관에 사전에 통보한 후 입국하는 선수단에 대하여는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신속 통관을 지원하고 사전에 통보하지 않고 입국하는 선수단의 총포는 유치한 후에 대회조직위원회에 통보하고 경찰청의 허가 관련 서류를 확인한 후에 통관절차를 진행하며 대회조직위원회를 통해 선수단에 인계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 총포 통관 검사 보조를 위한 대회조직위원회 운영요원의 입국장내 출입허가를 요청할 때에도 지원 조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구세관에서는 선수단의 입국일정과 규모에 따라 당일 근무직원 외 예비인력 등 인력을
-
더존비즈온, 국제적으로 '디지털체계 부문' 성과 인정받아2022.11.07
(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더존비즈온이 정보통신기술분야 국제민간기구로부터 디지털체계 부문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인정받았다.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이 지난달 28일 싱가포르 리조트월드센토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SOCIO Digital Summit 2022’에서 ‘Digital Government(디지털 체계)’ 부문 기업으로 선정돼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7일 밝혔다. ASOCIO(아시아-대양주 정보산업기구)는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가 한국 대표로 가입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제민간기구로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등 24개국을 회원국으로 뒀다. 1984년 설립 이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IT 산업 육성과 회원국 간 무역 및 투자 진흥에 힘써오고 있다. ASOCIO는 2016년부터 매년 회원국 가운데 ICT 혁신과 발전에 기여한 기업 및 기관을 선정, 4개 부문에 시상하고 있다. 더존비즈온은 강원도 디지털 통합 행정플랫폼인 ‘우리도’의 개발·서비스를 통해 대국민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고 공공 복지・행정의 맞춤형 서비스 확산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Digital Government 부문상을 수상했다. 특히 이번 수상은 더존비즈온의 IC
-
성창기업지주, 최근 5거래일 거래량 최고치 돌파... 주가 +6.17% ↑2022.11.07
성창기업㈜과 성창보드(주)의 지주회사인 성창기업지주[000180]는 7일 오전 11시 14분 현재 전날보다 6.17% 오른 2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28.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단기간에 골든크로스를 만들고 주가가 60일선까지 뚫고 가는 모습이다. [그래프]성창기업지주 일봉 차트 성창기업지주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8% 늘어난 1979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0.4% 늘어난 10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43%, 상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7년 보다도 11.0%(196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성창기업지주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성창기업지주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3억원으로 2020년 0원보다 23억원(1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
-
조선선재, 거래량 증가하며 주가 상승... 주가 +6.02% ↑2022.11.07
피복용접재료 제조 및 유통업체인 조선선재[120030]는 7일 오전 11시 8분 현재 전날보다 6.02% 오른 11만 4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조선선재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거래원 동향은 미래에셋, NH투자 등이 매수 상위 목록에 나타나고 있다. 한편, 매도 창구 상위에는 JP모건이 눈에 띄고 있다. 이 시간 한화투자가 매수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대덕1우, 서연이화 등이 있다. [표]조선선재 거래원 동향 조선선재는 2021년 매출액 682억원과 영업이익 14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4.5%, 영업이익은 11.3%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46%, 하위 44%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7년 보다도 3.3%(21억 5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조선선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조선선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6억원으로 2020년 22
-
인포바인, 주가와 거래량 동반 상승... 주가 +5.85% ↑2022.11.07
유무선 통신 부가서비스 제공하는 기업인 인포바인[115310]은 7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전날보다 5.85% 오른 2만 2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인포바인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인포바인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7% 늘어난 195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1.3% 줄어든 6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9%, 하위 32%에 해당된다. [그래프]인포바인 연간 실적 추이 인포바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억원으로 2020년 14억원보다 -5억원(-35.7%)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3.4%를 기록했다. 인포바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3억원, 14억원, 9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인포바인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인포바인은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10/11 [지분변동공시]FidelityManagement&ResearchCompanyLLC 외 7명 -1.
-
시디즈, 주가와 거래량 동반 상승... 주가 +12.62% ↑2022.11.07
교육용가구 및 교육기자재 제조업체인 시디즈[134790]는 7일 오전 10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12.62% 오른 4만 7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시디즈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시디즈는 2021년 매출액 2519억원과 영업이익 12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0.7%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5.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3%, 하위 1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시디즈 연간 실적 추이 시디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4억원으로 2020년 33억원보다 -9억원(-27.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7%를 기록했다. 시디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0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4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시디즈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10월 12
-
감사위원회포럼, 이달 30일 정기포럼…가상자산 감사 고려사항2022.11.07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감사위원회포럼이 오는 30일 포시즌스호텔 누리볼룸에서 감사 및 감사위원회를 대상으로 ‘2022년 제4회 정기 포럼’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올해 마지막 정기 포럼은 기업에게 기회 또는 리스크가 될 수 있는 가상자산을 주제로 오창택 EY한영 감사부문 재무회계자문서비스 본부장이 ‘가상자산 관련 감사위원회의 고려사항’ 강연에 나선다. 가상자산은 현재 명확한 회계기준이 부재하지만, 잠재성장성이 있는 영역으로 최근 국내 게임사는 물론 IT기업과 상장 대기업들이 가상자산 기반의 신사업과 스마트 계약, NFT(대체불가토큰) 등을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있다. 감사위원회포럼 관계자는 “가상자산 거래소 및 게임사 해킹 사고와 실물경제 위축에 따른 가상자산 시장 침체 우려, 각국 감독당국의 규제 강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가상자산에 기반한 신사업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내부통제 체계와 회계정책 수립 등과 관련하여 감사위원회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짚어보는 매우 시의적절한 행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 감사위원회포럼의 연구사업을 수행한 김이배 덕성여대 교수가 ‘기업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감사위원회의 역할 제고 방안
-
[부고] 배경대(스카이 플래닝 앤 팜스 대표)씨 부친상2022.11.07
▲ 고인 : 배희수 씨 ▲ 별세 : 2022년 11월 6일 오전 11시 ▲ 빈소 :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장례식장 특실 ▲ 발인 : 2022년 11월 9일 오전 8시 ▲ 전화 : 02-2610-9472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승환 서울세관장, 국제이사화물 통관센터 현장 점검2022.11.07
(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정승환 서울본부세관장이 지난 4일 경기도 김포에 위치한 국제이사화물통관센터를 방문해 이사화물 통관 현장을 점검했다. 서울세관 국제이사화물 통관센터는 2014년 9월 경기도 김포시 경인항에 개소해, 2022년 10월말 기준 전체 이사화물의 약 81%(1만5372톤)를 처리하는 등 수도권 이사화물 통관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현재 국제이사화물 통관센터는 해외 이사화물을 통한 마약, 총기 등 위해물품 반입 위험 증가에 대응해 정밀검사가 가능한 중형 X-ray 검색기와 이온스캐너를 도입해 과학장비를 활용, 보다 정확한 검사로 관세국경 안전 확보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정승환 세관장은 이사화물의 X-ray 검색 및 개장 검사 등의 통관현장을 점검하면서, 마약 혼적 의심화물에 대한 이온 스캐너와 간이시약 검사를 병행하여 마약 등 위해 물품이 반입되지 않도록 철저한 검사를 지시했다. 이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비할 수 있도록 모든 직원들은 복무관리를 철저히 할 것과 세관 시설물 안전관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정승환 세관장은 “최근 마약류 등 위해 물품 반입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는 만큼, 통관단계에서
-
[부고] 황용연(국세청 남양주세무서 소득세과장)씨 부친상2022.11.07
▲ 고인 : 황의창 씨 ▲ 별세 : 2022년 11월 6일 오전 6시 ▲ 빈소 : 부산성모병원추모원(장례식장) 2호실 ▲ 발인 : 2022년 11월 8일 오전 7시 ▲ 전화 : 051-933-7480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동국알앤에스, 거래량 증가하며 주가 상승... 주가 +5.49% ↑2022.11.07
내화물 전문 생산업체인 동국알앤에스[075970]는 7일 오전 10시 5분 현재 전날보다 5.49% 오른 43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동국알앤에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일봉 차트의 모습은 단기적으로 역배열을 만들면서 조정을 받았지만, 반등하면서 5일선을 넘어서는 모습이다. 최근 이 종목의 차트에서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의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그래프]동국알앤에스 일봉 차트 동국알앤에스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1.5% 늘어난 1041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4.2% 줄어든 2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7%, 하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2.3%(23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동국알앤에스 연간 실적 추이 동국알앤에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억원으로 2020년 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3%를 기록했다. 이는
-
코리아에프티, 최근 5거래일 거래량 최고치 돌파... 주가 +5.07% ↑2022.11.07
캐니스터, 필러넥 등 차량 연료계통 부품 전문업체인 코리아에프티[123410]는 7일 오전 10시 19분 현재 전날보다 5.07% 오른 2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코리아에프티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차트상 주가의 흐름은 중기 추세상으로는 역배열 구간에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정배열 구간에서 상승흐름을 이어왔다. 이 종목의 차트에서 최근에 최근 5일 매물대 돌파, 주가 5MA 상향돌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코리아에프티 일봉 차트 코리아에프티는 2021년 매출액 4657억원과 영업이익 9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3.7%, 영업이익은 53.6%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50%, 상위 3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6.1%(269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코리아에프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코리아에프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
후성, 주가와 거래량 동반 상승... 주가 +3.61% ↑2022.11.07
냉매가스, 이차전지 전해질 제품 제조업체인 후성[093370]은 7일 오전 10시 18분 현재 전날보다 3.61% 오른 1만 2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후성의 2021년 매출액은 3813억으로 전년대비 45.7%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581억으로 전년대비 1,969.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1%,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8년 보다도 38.7%(1063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후성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후성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8억원으로 2020년 18억원보다 60억원(333.3%)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9%를 기록했다. 후성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0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78
-
JW홀딩스, 거래량 증가하며 주가 하락... -3.25% ↓2022.11.07
의약품 도소매 및 수출입업 영위 지주회사인 JW홀딩스[096760]는 7일 오전 9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3.25% 하락한 2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JW홀딩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거래원 동향은 에스지, JP모건, NH투자 등이 매도 상위 목록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외국계(추정) 증권사 창구를 통한 거래 비중은 30% 수준이다. 그리고 이 시간 에스지가 매도창구상위에 올라있는 종목은 이 종목 이외에도 앱코, 대유에이텍 등이 있다. [표]JW홀딩스 거래원 동향 JW홀딩스는 2021년 매출액 7889억원과 영업이익 68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0%, 영업이익은 84.1%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2%, 상위 3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JW홀딩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JW홀딩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81억원으로 2020년 20
-
오늘부터 내년 예산안 심사…깎인 안전‧방역예산 두고 공방예상2022.11.07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7일부터 국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 일정이 시작된다. 또한, 한덕수 국무총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및 장관들은 이틀간 종합정책질의를 받는다. 이태원 참사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등도 대응 및 후속 조치와 관련해 질의를 받게 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7~8일 종합정책질의를 마친 뒤 10~11일에는 경제부처 심사, 14~15일에는 비경제부처 심사를 이어간다. 17일부터는 예산안조정소위(예산소위)에서 각 부처 심사를 토대로 본격적인 내년도 예산안 감·증액 심사가 추진하며, 이달 30일 전체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심사·의결할 계획이다. 내년 예산안은 미국 및 주요 선진국이 긴축쟁책을 추진할 때 윤석열 정부는 대기업(법인세 최고세율)‧대기업 근로자(소득세율 중상단 세율조정)‧자산가 감세(종부세, 주식양도세)를 하면서 동시에 전년도보다 전년도 대비 5.3% 확장재정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실질적인 안전예산이 내년 안전예산 총지출이 22조3169억원으로 올해보다 1.8%(4009억원) 늘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에 나눠주는 안전예산·사고 수습 때까지 지출되는 예산(완료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