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수소거버넌스] 환경부 “유기성 폐자원→바이오가스→수소 활용 바람직”

우리나라 바이오가스 생산‧활용량 해외 사례比 턱없이 부족
유기성 폐자원으로 만든 바이오가스 수소 적극 활용돼야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음식물과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를 촉진하고, 나아가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30일 환경환경공단과 조세금융신문이 주관하고 이인영‧이정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국가 수소거버넌스 구축 세미나’에서 이상진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장은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그 활용에 관한 법적 제도를 만드는 환경부를 대표에 이같은 의견을 개진했다.

 

이 과장에 따르면 최근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가스의 생산 및 이용촉진법’이 환경노동위원회 법안 소위를 통과했다. 해당 법안은 지방자치단체나 민간 의무 생산자들이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해 바이오가스 일정 부분을 생산토록 하고, 생산한 실적들을 서로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그간 쓰레기로만 취급되던 하수 찌꺼기나 음식물 폐기물, 가축 폐기물 등을 바이오 가스 생산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시점에 각종 폐기물을 활용해 만들어진 바이오가스를 어떻게 만들고 이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이 과장은 강조했다.

 

먼저 이 과장은 우리나라의 바이오가스 생산량과 활용량이 해외 사례와 비교해 턱없이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덴마크의 경우 도시가스의 25%를 바이오가스로 이용하고 있다”며 “1인당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보더라도 독일은 우리나라의 15배 이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가스 중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비율은 1%도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이 과장은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와 비교해보면, 그 활용도 부분에서 당장 경쟁할 수준은 아니지만 미래 에너지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설파했다.

 

그는 “지금 만든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와 경쟁한다고 보면...(큰 의미는 없다)”면서도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가 굉장히 경쟁력이 있다고 본다. 수소를 이용하면 분산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자체로 수소차, 수소전지로 이용할 수 있고 생산 수소를 운송하는 비용과 안전성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가스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해선 전국에 있는 하수처리장을 바이오가스 생산 기지로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이 과장은 “전국에 하수처리장이 600여개가 있다. 이런부분이 바이오가스 기지가 될 것이고 이런 곳에서 생산되는 것들을 집중 이용하는 방식으로 하는게 바라직 할 것으로 본다”며 “도시가스 열생산, 전기생산과 경쟁하기 보다 수소로 생산함으로써 지금의 수소, 그린수소를 기반한 체계를 만들어줄 수 있는 중요한 소스로 집중 활용하는게 바이오가스의 특성,과 분산 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용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세미나 제 1주제 발표를 맡은 한국고등기술연구원 송형운 수석연구위원(박사)은 ‘충주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에서 추출한 수소 생산시설 실증 사례’를 국내 첫 그린수소 상용화 성공사례로 발표하며 “현재 바이오가스 중 도시가스 등 외부공급을 제외한 1억12만5000입방미터를 수소로 전환하면 연간 그린수소 약 1만3000톤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국내 소수공급량의 2.8%, 그린수소 생산량의 13.8%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이 과장은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할 경우 고등기술원이 밝힌 바이오가스 생산량 보다 더 많은 량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동식물성 잔재물 등으로도 활용해 추가 생산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연구개발(R&D) 연계돼 이용되면, 그린수소에 유기성 폐자원이 활용되는 부분이 고등기술연구원이 말한 13.8%보다 더 많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