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보험산업 성장, 디지털에 달렸다…소비자 ‘편의성‧필요성’ 모두 고려해야

5일 보험연구원 ‘2024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 개최
보험업계 숙원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보험사기 방지법 개정안 찬성 목소리도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보험산업의 불확실성도 덩달아 확대되고 있다.

 

게다가 내년 국내외 경제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균형으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바로 ‘저성장‧저금리‧저물가’의 뉴노멀 시대에서 더 낮은 저성장과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와 물가의 새로운 균형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보험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디지털 전환에서 찾아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5일 보험연구원이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한 ‘2024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 이같은 내용의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조영현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장은 보험 서비스의 가장 기본은 ‘소비자’에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의 편의성과 필요성에 바탕을 둔 서비스들이 나와야 보험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특히 편의성 측면에서, 세대가 어릴수록 디지털 채널에 대한 편의성이 높을 수밖에 없는데 결국 디지털 채널이 성공하기 위해선 필요성도 높아야 한다는 것이 조 실장의 주장이다.

 

그는 “편의성만 높다면 디지털 채널이 성공하기 어렵다. 대면 서비스 역시 (디저털 서비스보다) 편의성은 떨어지더라도 필요성이 높아야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험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며 “보험산업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디지털 전환 수준이 높아졌지만, 사업모형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기까진 아직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중심의 보험을 지향하고 있는 보험회사들의 단기순이익을 보면 아직 적자가 많은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이런 사업이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 실장은 보험사의 디지털 중심 사업 확장을 위해선 디지털 전환 수준의 고도화, 빅테크들의 보험시장 진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데이터 활용을 어떻게 활성화 할 것인지, 디지털화와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해야 하는 문제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동시에 정부도 보험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정책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소비자 보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평가하고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조 실장은 최근 국회에서 진행중인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보험사기 특별법 개정 작업도 신속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요한 보험법률 개정안이 심의중인데 실손보험 청구전산화 같은 경우 소비자의 웰페어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며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개정 작업 또한 신속하고 원활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개정안이란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때 종이서류 발급 과정 없이 진료받은 병원에서 신청하면 곧바로 전산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이다. 또 다른 보험업계 숙원인 보험사기 방지 특별법은 보험사기 범죄자의 명단을 공개하는 등 보험사기 범죄 시 가중 처벌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