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박형준 기자) 자녀가 평소와 달리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짜증을 쉽게 낸다면 소아 우울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소아 우울증은 학업 스트레스, 또래 관계, 가족 문제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최근 국내 소아 우울증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6~11세 아동의 우울증 진료 건수는 92% 증가했고, 12~17세 청소년도 57% 증가했다.
소아 우울증은 성인 우울증과 유사하게 식욕 저하, 불면증, 집중력 저하를 유발한다. 이전에 즐기던 활동에 흥미를 잃고 짜증이나 예민함을 보이기도 한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김재원 교수는 "소아 우울증은 ADHD, 품행 장애, 불안 장애와 동반될 수 있어 체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춘기와 우울증을 혼동하는 부모도 많다. 사춘기의 감정 기복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우울증은 지속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소아 우울증은 방치하면 만성 우울증으로 악화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CDRS-R 평가 결과에 따라 경증이면 심리 치료를, 중등도 이상이면 항우울제 치료를 진행한다. 일부 학부모는 항우울제의 부작용을 우려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우울제 복용으로 인한 자살 충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놀이 치료나 정서 조절 훈련도 병행할 수 있으며, 가족 치료도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 건강한 환경 조성과 정기적인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