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신뢰의 가치, 불신의 비용

2022.05.12 11:30:05

무엇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있는가?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평소보다 30분 정도 늦게 경의중앙선 열차를 탔더니, 몇해 전 이른 아침 악명 높은 서울지하철 9호선을 탄 것처럼 붐볐습니다. 

 

문득 비접촉 기술이 유독 잘 먹히는 한국에서 왜 이다지도 목숨을 걸고 출퇴근을 해야 하는지 안타까워 졌습니다. 
베이비부머들이 완전히 일터를 떠나고 가진 것 탈탈 털어 후대에 물려줄 때(RIP) 쯤이면, (저 역시 그다지 익숙하지 않은) 비접촉 일터가 구현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들 세대의 맥락과 희노애락, 장단점(SWOT)을 짐작할만큼 그들과 함께 일한 세대이기 때문에, 저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비접촉 일터를 꺼리는 이유를 잘 압니다. 졸렬하고 후진적 마인드에서 비롯된 게 대부분이지만, 행동심리학적으로 합리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태어나자마자 마스크를 쓴채 2년여를 살아온 아기들의 뇌는 분명 마스크를 쓰지 않고 유아기를 보냈던 세대와 다를 것입니다. 처음 작은 차이가 시간이 지날수록 엄청나게 치명적인 차이로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바이러스 대량확산 이 어떤 집단이 자신들만의 이익을 노리고 만든 게임(음모론!)이었다면, 이 아이들이 나중에 그들을 찾아내 잔혹하게 복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핵심은 신뢰인 것 같습니다. 하루종일 컴퓨터와 휴대폰, 온라인 네트워크에서만 일하는 직종이라도 출퇴근을 해서 꼭 얼굴을 마주해야만 일터답다고 생각하는 것도, 청정년층이 아이를 낳지 않는 것도, 유튜브를 활용해 언론을 구현해보려는 사람이 한국에 유독 많은 것도, 학교 대신 학원에서 입시를 준비하는 것도, 결국은 죄다 불신 때문입니다. 기업주, 국가, 의사. 언론에 대한 불신이 낳은 사회현상입니다.


최근 발표된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사회를 포함해 모든 개발도상국에 광범위하게 퍼져 고착화 된 ‘불신’의 기원은 다름 아닌 ‘비정규직 고용’이라고 합니다. 


사업주는 ‘뽑은 직원이 능력이 없거나 게을러 질 수 있으니’ 비정규직 고용을 선호합니다. 

 

국가는 그런 사업주의 이해관계를 법과 제도에 반영해 줍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해당 기업을 넘어 전 국가, 모든 사회공동체로 삽시간에 퍼져 구석구석에 불신의 똬리를 틉니다.
사업주의 불신을 알아챈 종업원은 ‘사업주가 언제 나에게 불이익을 줄 지 모르니, 노조에 노동법, 사내정치 매뉴얼로 중무장 하자’고 마음 먹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일터에서 시작된 불신은 가정까지 침투합니다. ‘저 남자(여자)가 연애할 때와 달리 엄청난 폭력성과 낭비벽이 있을 수 있으니, 일단 1년 살아본 뒤에 혼인신고를 하자’고 합의하는 관행이 꽤 보편화 돼 있습니다.  

 

일터에서 시작된 불신의 미시정치는 이윽고 학교와 군대, 병원, 법원, 세무서, 의회를 두루 거쳐 가정, 심지어 자신의 내면에까지 이릅니다. 내가 나 자신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은 자아존중감이 거의 바닥수준까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정규직 고용 확대라는 경제현상에서 비롯된 불신이 미시적, 거시적 우주로 퍼져 나갑니다. 공동체는 ‘불신’이라는 틀을 지탱하는 알고리즘들로 채워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이런 생태계에 복무하도록 재편성됩니다. 이 ‘나비효과’는 경제현상을 넘어 인간 자체를 나쁜 쪽으로 변화시키는 힘을 지닙니다.


한국사회 공동체는 이 ‘불신’ 때문에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국토 어디에 있어도 포착될 수 있을 정도로 촘촘해진 CCTV 등 온갖 감시장비에 모든 민간 및 공공서비스에서 필수적인 이중삼중의 본인 인증, 위치추적이 가능한 출퇴근부 등등. 

 

한국인들은 이렇게 스스로를 불신의 프레임에 가두고 비접촉의 간명함에 뿌듯함을 느끼는 역설을 만끽하고 있습니다. 
이성을 지닌 동물이긴 하지만, 인간도 환경 변화에 따라 언제든 반공동체적, 이기적인 파괴자로 돌변할 수 있습니다. 이미 인간 이외의 종에게는 너무나 배타적이고 포악한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언제든 서로 불신할 준비가 돼 있는 동물이 바로 인간입니다.

 

그러나 불신의 정도는 행동심리학에 기초해 정교하게 설계된 제도와 투명한 제도운용을 통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합니다. 도덕적인 캠페인은 사실 필요가 없습니다. 사회적 신뢰수준이 높은 나라들은 도덕성 캠페인을 잘 해서가 아니라, 좀 더 과학적 사고에 천착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공동체 이해관계자들의 신뢰수준을 돈 가치로 환산해보면, 놀라울 정도로 클 것입니다. 불신 때문에 공동체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 규모가 어마어마 하게 크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불신이 유지돼야 처먹고 사는 기생충 같은 직업군도 있을 것 입니다. 아마도 지금 한국사회에서 꽤 돈을 잘 버는 직업군도 포함될 것입니다.

 

힘 센 기득권자들은 어쩌면 이 불신의 늪이 최적화된 서식지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자 dipsey@tfnews.co.kr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