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작년 한해 해외직구수입액 16억 달러, 2015년 대비 10% 증가

미국 위주에서 중국‧유럽 등으로 해외직구시장 다변화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지난 2016년 전체 수입규모가 줄어드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해외직구수입 수요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19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작년 해외직구수입은 1739만5000건, 16억3000만 달러로 2015년에 비해 건수 기준 10%, 금액 기준으로는 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작년 한해 해외직구가 증가세로 돌아선 이유는 ▲중국‧유럽 등 직구시장 다변화 ▲국내물가 상승에 따른 합리적 소비 추구 ▲소비성향 다양화 등인 것으로 관세청은 분석했다.


미국의 경우 해외직구수입 점유율이 가장 컸으나 지난 2013년 이후 해외직구수입 비중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였다. 지난 2013년 미국의 해외직구 비중은 75%였으나 2016년에는 65%를 차지해 3년새 10%나 줄었다.


또 미국은 지난 2015년 대비 반입건수 기준 3%, 수입금액 기준 4%가 각각 감소했다.


반면 유럽과 중국은 해외직구수입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유럽은 지난 2013년 7%에서 작년에는 15%까지 비중이 늘었다. 중국의 경우 2014년까지 주춤세를 보이다가 지난 2016년에는 8%로 2015년 대비 3% 비중이 증가했다.


이에 대해 관세청은 미국 중심의 해외직구시장이 유럽‧중국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내다보았다.


해외직구 수입 물품 중 가장 많은 품목은 건강식품(20%)이었다. 뒤를 이어 화장품(16%), 기타식품(14%), 의류(12%), 신발(8%), 전자제품(7%) 순이었으며, 이들 품목이 전체 해외직구 수입품목 중 75%를 차지했다.


특히 이중 전자제품의 해외직구수입량은 2015년 42만 4000건에서 2016년 117만 4000건으로 무려 177%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그동안 주요 해외직구수입 품목이던 의류, 신발, 핸드백은 지난 2015년 보다 10% 이상 감소했다.


나라별 주요 해외직구수입 품목은 미국은 건강식품(27%), 유럽에서는 화장품(33%), 중국은 최근 수요가 늘어난 스마트폰 보조 배터리 등 전자제품(23%), 일본의 경우 캔디, 초콜릿 등 기타 식품(14%)이 차지하고 있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