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변재일 "삼성·LG 스마트폰 국내 가격 해외보다 2배 이상 비싸"

국내 제조사 고액 프리미엄폰 판매 정책으로 단말기할부금이 통신 요금 뛰어 넘기도 해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국내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삼성‧LG 스마트폰 제품이 해외에 비해 2배 이상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은 글로벌 IT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지난 9월 발표한 ‘Market Share : PC, Ultramobil and Mobile Phone ASPs, 2Q17 Update’ 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국내 스마트폰 판매가격이 해외 평균가격 보다 약 2.6배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2015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국내 단말기 평균 판매가격은 미화 514달러로 해외 평균 판매가격인 197달러보다 약 2.6배 비쌌다.


국내서 판매되는 단말기 제조사별 평균 판매가격은 애플이 758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삼성이 508달러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LG 단말기 제품은 361달러, 기타 제조사 단말기 제품의 경우 227달러를 기록해 애플‧삼성 단말기 제품과는 현격한 가격 차이를 보였다.


이들 제조사별 단말기 국내 평균 판매가격은 해외 평균 판매가격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 제품의 국내 평균 판매가격 508달러는 해외 평균 판매가격 223달러와 비교시 2.3배 높았으며 LG 제품 해외 평균 판매가격 185달러 보다 2.1배 비싼 361달러였다.


그러나 애플 제품의 경우 국내 평균 판매가격과 해외 평균 판매가격이 각각 758달러, 713달러로 가격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국내 프리미엄폰 시장 비중의 경우 해외 32% 보다 압도적인 87.9%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12일에서 22일까지 변 의원과 녹색소비자연대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공동 온라인 인식 조사를 펼친 결과와도 일맥상통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87.4%가 고가의 LTE스마트폰을 이용했고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 70.7%가 LT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단말기 시장이 프리미엄 단말기 중심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전체 국내 시장점유율 75.7%를 차지하는 삼성‧애플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3만원 미만 단말기 할부금 납부 비중은 평균 43.5% 대비 삼성 3.7%, 애플 26.1%가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3만원 이상 단말기 할부금 납부 비중의 경우 삼성은 평균 56.5%에 비해 3.78% 높은 60.2%를 기록했고 애플은 26.1% 상회한 82.6%를 차지했다.


한편 국내 시장점유율 75.7%를 차지하는 삼성‧애플의 고액 프리미엄폰 판매 정책으로 인해 단말기할부금이 통신서비스 요금을 뛰어넘는 결과도 불러일으켰다.


변 의원 추계자료에 의하면 125만4000원자리 갤럭시노트8(256G) 제품을 구입한 후 2년간 월 4만6200원 정액제에 가입해 선택약정 25%를 적용할 경우 통신서비스 요금으로 매월 3만4560원이 지출된다.


하지만 단말기 할부금의 경우 매월 5만2250원이 지출돼 단말기 할부금이 통신요금보다 비싼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다음달부터 출시예정인 아이폰Ⅹ의 경우 국내 출시가격이 13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예상됨에 따라 단말기 할부금이 통신요금을 초과하는 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변 의원은 전망했다.


변 의원은 “과거 일본에 가면 소니 등 일본 전자제품을 사오는 풍토가 있었고 최근에는 미국에서 아이폰을 사오는 등 국가별 유명 가전제품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가격이 낮다보니 이런 추세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그는 “우리나라를 외국 관광객들이 휴대전화 쇼핑을 하러 오는 경우가 거의 없는 점을 감안하면 삼성의 국내가격이 싸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변 의원은 “이번 인식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LTE스마트폰을 이용 중인 상황에서 우리나라 소비자의 평균 단말기 구입가격이 해외보다 비싼 상황을 감안한다면 가계통신비 인하 문제는 통신서비스요금 인하만으로 한계가 있어 정부‧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