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기업 10%, 이자내기도 ‘급급’…선제적 구조조정 필요

지난해 부채상환능력 취약 기업 비중 11.8%, 2년 새 3.0%p 증가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기업 10곳 중 1곳 이상이 번 돈으로 이자갚기도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금리상승 흐름으로 인해 이러한 기업들이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0일 공개한 ‘한국 기업 부채상환능력 문제없나’ 보고서를 통해 2012년 14.2%이었던 부채상환능력 취약 기업의 비중이 2015년 8.8%로 줄었지만, 지난해 2017년 11.8%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부채상환능력 취약 기업이란 이자부담이 영업을 통해 번 돈과 비슷하거나 넘어서는 기업을 말한다.

 

만기가 1년 이내인 단기 차입금 비중은 2012~2014년 41%대에서 지난해 46.3%로 늘었다. 만기가 짧으면 금리는 줄어들지만,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이 나지 않으면, 부도위험이 커진다.

 

부채상환능력에서도 하위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은 날로 떨어지고 있다.

 

이자 지급 능력 하위 20%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2년 –0.3에서 2016년 0.8로 올랐다가 2017년 0.5로 다시 하락했다.

 

EBITDA(법인세 및 이자지급 전 이익) 대비 차입금 배율도 하위 20%는 2012년 7.9, 2016년 6.6, 2017년 6.8로 저조했다.

 

반변, 이자 지급 능력이 상위 20%인 기업은 이자보상배율이 2012년 17.0에서 2017년 34.3으로 올랐으며, 2012∼2017년 차입금EBITDA 배율은 0을 유지했다. 무차입경영을 했다는 의미다.

 

이 연구위원은 “이자 비용, 차입금이 과도한 기업은 구조조정을 통해 부채 상환 능력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생존 가능성이 낮은 한계기업은 불가피할 경우 퇴출까지 고려한 선제 구조조정을 하되, 사전에 정교하게 설계된 계획을 바탕으로 금융 불안, 실물 경제 위축을 막아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