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詩가 있는 아침]모란이 피기까지는

시인 김영랑, 낭송 조정숙 , 영상 세인트1

 

모란이 피기까지는_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시인] 김 영 랑

1903년 전남 강진(康津) 출생(1950년 별세). 본명은 윤식(允植)

1930년 박용철(朴龍喆)·정지용(鄭芝溶) 등과 함께 《시문학(詩文學)》 동인으로 참가하여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언덕에 바로 누워>, <쓸쓸한 뫼 앞에>, <제야(除夜)> 등의 서정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시작(詩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아름답고 음악적인 시어, 섬세하고 영롱한 서정성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시집으로 『영랑시집(永郞詩集)』

 

 

[詩 감상] 양 현 근

김영랑은 일제 강점시 순수 서정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민족시인이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창씨개명(創氏改名)과 신사참배를 거부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민족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 시에서 `모란'은 지상의 모든 아름다움의 상징이다.

따라서 모란꽃이 진다는 것은 곧 희망과 아름다움의 소멸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지극한 슬픔에도 불구하고 다시 또 돌아올 찬란한 봄과

다시 아름답게 피어날 모란을 기다린다.

봄은 곧 환희와 슬픔의 계절이자 내일을 기약하는 희망의 계절인 것이다.

‘찬란한 슬픔의 봄’이라는 모순적인 현실이 일제 강점기의 암울했던

시대상황과 맞닿아 있다.

 

[낭송가] 조 정 숙

시마을 낭송작가협회 회원

청마유치환 전국시낭송대회 대상

김영랑 전국시낭송대회 대상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