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이슈체크] 금융기관 수장들이 뽑은 2022년 키워드는 '가계부채·디지털'

가계부채 관리강화로 선제적 리스크 차단
금융 디지털화 지원…소비자 보호 노력도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양대 금융당국, 금융공공기관, 금융협회 수장들이 3일 올해 신년사를 통해 공통적인 키워드를 제시했다. 바로 가계부채 관리, 디지털 금융이다.

 

먼저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가계부채 관리강화를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하며 포용금융, 금융안정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그러면서 그는 금융안정이 흔들릴 경우 경제회복과 금융발전도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며, 가계부채 관리 방안으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4~5%대로 정상화 시키겠다는 계획을 포함시켰다.

 

이를 위해 분할상환과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고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보호조치 병행을 실시할 것이라고 고 위원장은 덧붙였다.

 

또한 그는 금융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히며, AI활용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데이터 결합제도를 개선하며 마이플랫폼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디지털 금융 발전을 제도적 측면에서 보완하기 위해선 빅테크‧핀테크가 혁신과 경쟁을 선도하도록 뒷받침하면서 동시에 금융 안정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규율은 균형있게 마련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은보 금감원장 역시 고 위원장과 마찬가지로 금융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관리와 디지털 혁신을 강조했다.

 

정 원장은 현재 금융시장에 크고 작은 리스크가 잠재돼 있고 이런 것들이 현실화될 경우 그 영향이 광범위해 상흔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측면에서 그는 새해 가장 역점을 두고자 하는 부분이 잠재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관리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금융 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가계부채와 외화 유동성, 단기자금시장과 비은행권발 리스크 등은 그 비중을 불문하고 적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 정 원장은 금융혁신을 적극 지원해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면서도, 금융상품이 복잡해지고 디지털화에 따른 판매치널 다변화로 정보 비대칭에 의한 소비자피해와 특정계층 소외현상 등 소비자 보호의 사각지대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같은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개발 단계에서부터 판매와 사후관리 등 금융 상품의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에 걸쳐 소비자 보호를 위한 선제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게 정 원장의 의견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주체의 채무가 늘어난 것이 우리 경제의 취약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과잉 부채는 대외환경이 악화될 때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금융불균형 대응을 위해서라도 올해 추가 금리인상을 지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또한 이 총재는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크게 늘 수 있는 만큼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해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금융 디지털화에 대해 다소 우려섞인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그는 금융사의 급격한 디지털화는 새로운 리스크를 촉발시킬 가능성도 있는 만큼 새롭게 도입되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실시간으로 관리‧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