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사카린·비자금·최순실…삼성 총수 3대 '수난사'

이병철은 검찰수사, 이건희는 집행유예, 이재용은 구속수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25일 1심 선고 공판을 앞두고 이병철 선대 회장과 이건희 회장 등 삼성 총수 3대의 '수난사'에 새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창업주인 고(故) 이병철 전 회장은 검찰 수사를 받았으나 기소되지는 않았고, 이건희 회장은 재판까지 받았지만 구속은 면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부회장은 가장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는 셈이다.

   

이병철 전 회장은 지난 1966년 한국비료의 이른바 '사카린 밀수사건'으로 곤욕을 치렀다. 본인이 기소되진 않았으나 차남인 이창희 당시 한국비료 상무가 6개월간 수감 생활을 했다.

   

이 전 회장은 당시 여론이 악화되자 한국비료를 국가에 헌납하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겠다고 선언하면서 위기에서 벗어났다.

   

현재 와병 중인 이 회장은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 과정에서 다른 대기업 총수들과 함께 조사 대상에 올랐다.

   

이후 불구속 기소돼 이듬해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그로부터 약 10년 뒤인 2005년에는 삼성 임원진이 정치권과 법조계에 금품 제공을 논의했다는 폭로가 담긴 이른바 'X파일' 사건으로 검찰 조사를 받으나 무혐의 처분됐다.

   

또 2007년에는 삼성 구조조정본부에서 법무팀장을 지낸 김용철 변호사가 비자금 의혹을 폭로하면서 특검 수사를 받았고, 결국 배임과 조세포탈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이 회장은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선 방안 등을 내놓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의 판결을 받은 뒤 사면됐다.

   

김용철 변호사 폭로 당시 특검에 소환되기도 했으나 불기소 처분을 받았던 이 부회장은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뇌물을 받은 혐의로 또다시 특검의 수사선상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2014년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투병 생활을 하는 부친을 대신해 사실상 그룹 총수 역할을 해온 이 부회장은 삼성 총수로서는 처음으로 구속 수감되는 불명예 기록을 남겼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