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김의형 “무형자산 비중 커지는 미래산업…업종별 상장기준 필요”

"시장흐름에 회계기준도 발맞춰야"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김의형 회계기준원장이 18일 무형자산의 비중이 커지는 미래산업에 주식시장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상장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개발, 게임, 판권 등 무형자산의 규모와 비중이 커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유형자산을 기준으로 회사의 규모를 가늠하는 전통적인 상장기준은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장충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기업환경은 기업 내 무형자산의 비중이 커지고, 지출의 형태도 단순 지출인지 투자인지 모호한 경우가 많다”라며 “유형자산을 기준으로 회사의 규모를 따지던 전통방식에서 벗어나 업종별로 다양한 상장기준이 필요하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최근 기업들은 공장부지 등 유형자산을 늘리는 것보다 무형의 인프라를 만드는 데 집중하는 반면, 현 회계기준으로는 지출의 성격을 규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11월 손정희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 겸 CEO는 쿠팡에 대해 2조2500억원의 추가 투자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유형자산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회계개념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이며, 근본적 해결방안이 없다고 전했다.

 

쿠팡은 1년에 수천억원의 비용을 썼는데 김 원장 자신은 이를 투자로 생각하고 있지만, 돈을 쓰고 나서 유형의 자산이 생긴 건 아니기에 돈이 그냥 없어진 건지 아니면, 네트워크나 영업인프라,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데 쓴 건지 확인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이를 처리할 회계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국내 시가총액 수 조원 규모의 게임회사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회사 내부로 보면 자산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반면, 시장에서는 쿠팡 등은 성장과 수익 측면에서 높은 시장의 기대를 받고 있다. 이는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무형의 자산이 분명히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하기 때문이다.

 

다만, 김 원장은 한 업종에서의 기준을 다른 업종에 그대로 적용하면 반드시 부작용이 있다고 전했다.

 

최근 금융당국은 제약바이오 업종의 연구결과에 대해 무형자산처리를 인정해줬지만, 이를 화학 등 다른 업종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코스닥 기술상장특례 평가 도입 등 무형자산에 대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라며 “무형자산을 기초로 한 기업들에 대한 업종별 상장평가 방법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