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삼정KPMG,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 농업에 64억 달러 투자

밸류체인 스마트 농업 ‘테크놀로지맵’…데이터 주권 확보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지난해 사모펀드(PE), 벤처캐피털(VC), 액셀러레이터 등 글로벌 투자자가 스마트 농업에 투자한 규모는 64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회장 김교태)가 2일 발간한 ‘스마트 농업과 변화하는 비즈니스 생태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어그테크에 투자된 건수는 495건으로 2010년 69건 대비 7배 이상 증가했다.

 

어그테크(Agtech)는 농업(Agriculture)과 기술(Tech)을 결합한 용어로 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을 말한다.

 

지난 10년간 미국 기반 투자자를 중심으로 스마트 농업과 어그테크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9년까지 투자 건수는 연평균 24.5%, 투자액도 연평균 15% 가량 성장했다.

 

어그테크는 중 초기 단계 기업에 투자하는 액셀러레이터와 벤처캐피털의 투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장·가축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업과 로보틱스·기계화·농업 장비 분야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됐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만나CEA 지분투자, IMM인베스트먼트의 팜에이트 지분투자, 앵커에쿼티파트너스의 대흥농산 인수 등 사모펀드 운용사를 중심으로 국내 주요 투자자들도 친환경 또는 건강 식품 업계에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이들은 내수 시장에서의 안정적 수익 창출과 해외 진출 여력을 갖춘 국내 농업법인을 주요 투자처로 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알리바바 등 글로벌 테크 자이언트(Tech Giants)도 M&A와 투자를 통해 기술력을 확보하거나 스마트 농업 관련 솔루션 개발에 나서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삼정KPMG는 스마트 농업과 어그테크 발전과 관련 IT시스템과 플랫폼, 데이터 축적 및 데이터 라이브러리 등을 고려한 스마트 농업 핵심 성공 요인(KSF, Key Success Factors)을 제시했다.

 

▲밸류체인 단계별 시스템·플랫폼 개발과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 선행 ▲기능성·약용 작물 등 유망 작물의 발굴과 육성 ▲스마트 농업 제반 제도 정비 ▲우수인력 양성 ▲어그테크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M&A 등을 제안했다. 이어 밸류체인 단계에 따라 접목 가능한 스마트 농업 기술을 매치한 ‘테크놀로지맵(Technology Map)’을 제시했다.

 

박문구 삼정KPMG 스마트 산업 리더(전무)는 “스마트 농업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신성장동력산업이 되도록 공공과 민간 인프라를 융합할 때”라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