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친환경 대전환의 시대가 도래했다. 화석 연료가 지배하던 세계 경제가 저탄소 청정 에너지 기반으로 바뀌면서 다양한 형태의 산업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세계가 에너지 부족 사태에 내몰린 가운데 수소는 문제 해결의 ‘열쇠’로 떠올랐다. 수소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을 통해 국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수소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등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로,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 탄소저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쓰레기 매립장은 수소의 ‘보고’로 주목받는다. 쓰레기가 미래 에너지의 특산물이 되는 셈이다.
30일 환경환경공단과 조세금융신문이 주관하고 이인영‧이정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국가 수소거버넌스 구축 세미나’에서 수소를 에너지 안보의 중추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같은 주장을 펼친 이한우 한국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장은 이날 2주제인 ‘에너지자립 관점의 수소 에너지 전환’ 발표를 통해 “에너지안보 문제는 과학기술만으론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국제적 관점에서 수소를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가스수급 대란과 경제 블록화 등 국제정세 변화에 맞춰 에너지 안보와 산업 육성 차원에서 수소 관련 자국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추세다.
미국의 경우 지난 8월 청정수소 생산 지원을 포함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를 통과시켰다.이에 따르면 생산 전주기 배출량이 4kg 이내인 적격시설에서 수소를 생산할 경우 샌상세를 공제해준다. 10년간 kg당 기본 0.6달러(60센트)를 공제하고, 요건 충족 시 최대 3달러를 공제하는 식이다.
EU는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 해소계획인 ‘Repower’를 지난 3월 발표하며 30년 수소 소비량 목표를 기존 500만톤에서 2000만톤으로 4배 확대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청정 수소 생산이 소규모에 머물러있다. 다양한 수소 생산방식의 상용화를 통한 공급 기반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단장은 한국의 수소 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및 안보 강화를 위해선 국내 수소 총 수요의 25%는 무조건 국내에서 조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의존도가 없는 1100만톤의 하수슬러지, 음식물, 가축분뇨 등 유기폐기물과 연간 1000만톤이 배출되는 폐플라스틱 처리비용과정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이 에너지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단장은 국회가 주도하는 에너지안보 포럼도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외교와 국방, 통상, 산업,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가 모두 참여해 에너지 안보 강화 전략을 세우고 매년 ‘국가 에너지 안보 지수’ 평가결과를 발표하자는 것이다.
이밖에도 원전과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한 수소 생산과 비축, 생활 및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 추출수소 상업화 촉진, 농축수산 폐기물 추출수소 상업화 촉진, 수소 관련 기업의 해외기술 매입 및 투자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이 국내조달 수소의 기반을 강화하고 나아가 한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이 단장은 내다봤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송형운 고등기술연구원 박사가 제1주제인 ‘분산형 그린수소 마더스테이션 실증 및 상업화’를, 이 단장이 제2주제인 ‘에너지자립 관점의 수소 에어지 전환’을 발표했다. 이후 오재호 부경대학교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유휘종 한국에너지공단 재생에너지센터 소장과 이준상 한국환경공단 에너지시설처 부장, 남인석 한국수력원자력 수소융복합처 부장, 최수만 탄소중립미래포럼 대표, 이상진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장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