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목록

서울 신축 아파트값 평균 14억 육박…서초·강남 신축 최소 23억원

입주 5년차 이내 신축아파트의 인기 ‘고공행진’
집값, 서초·강남·용산·송파·종로 순으로 높아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서울 5년 이내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14억원을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114가 서울 아파트 연식에 따라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입주 5년 이내 신축 아파트가 13억8743만원으로 조사됐다. 입주 10년을 초과한 구축이 9억원 수준에 시세가 형성된 점을 고려하면 연식에 따라 평균 5억원 수준의 높은 가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신축 아파트의 고공행진은 강남권과 신흥 강자인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종로, 동작 등이 가세한 영향이 미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 중 서초구 신축 아파트의 경우, 가구당 평균 가격이 25억728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 2년~3년 사이 재건축을 통해 반포동과 잠원동 일대 구축 아파트가 새 아파트 단지들로 속속 탈바꿈하면서 강남권 전체 시세를 이끌고 있다.

 

이어 ▲강남 23억1464만원 ▲용산 18억3651만원 ▲송파 15억9804만원 ▲종로 15억6788만원 ▲동작 13억7394만원 ▲성동 13억5960만원 ▲마포 13억1516만원 ▲강동 12억6901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마·용·성의 대표주자 용산은 신축 아파트 가격이 송파를 뛰어넘었으며 경희궁자이의 입주로 주목받은 종로나 흑석뉴타운 일대 신축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는 동작도 눈에 띄는 약진이 확인됐다. 이밖에 신축 아파트가 10억원을 넘어선 지역은 양천, 중구, 영등포, 서대문, 강서, 광진 등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와 수도권 전매제한 시행 등을 앞두고 분양아파트 청약경쟁률이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있다”라며 “서울은 물론 수도권에서 100대 1을 넘는 높은 청약경쟁률이 이어지면서, 2~3년 뒤 입주시점에는 지역 내 가격상승을 이끄는 주체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분간 수요자의 분양시장 쏠림이 계속될 예정이므로 신축아파트에 대한 선호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