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못 빌리는 기업 늘어난다…레고랜드 사태에 기업‧정부부담 가중

2022.11.11 13:02:04

첫 하향검토 등급감시대상 등장, 기업 단기위험 부상
신용상승 기업수 감소, 신용도 낮아지면 이자 더 주고 빌려야 해
채권 이자율=위험도…한국기업 정크본드화 우려
정부, 거의 200조 가까이 투입…김진태 사태 후폭풍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지난 여름 한전 등 공기업 채권 유찰, 김진태 레고랜드 사태, 흥국생명 콜옵션 거부사태 등 줄줄이 국가 신용도에 치명타가 가해진 가운데 내년에 기업들이 돈 빌리기가 더 어렵게 될 전망이다.

 

신용평가회사들은 올해까지는 작년도 실적을 바탕으로 신용평가를 받았지만, 내년부터는 올해분 실적을 바탕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수출이 안 좋은 것도 있지만, 위 사건들로 채권시장에서의 신용에 큰 금이 가면서 국내 기업에 대한 대내외 신용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외부에서 자금을 대주지 않으면 신용도가 내려가고, 신용도가 내려가면 돈 끌어다 쓰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미 신용평가사들은 신용등급 하락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지난달 나이스신용평가는 롯데케미칼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결정에 대해 인수 대금과 추가적인 신규 투자자금 투입 등에 의한 연쇄적인 재무부담 확대를 우려해 롯데지주와 롯데렌탈, 롯데캐피탈 등 계열사 상당수를 등급 하향검토 등급감시대상에 추가했다.

 

하향검토 등급감시대상은 6개월 내 신용도가 내려갈 위험이 있다는 뜻이다.

 

신용평가사들은 경기가 안정된 상태에서 좀 규모가 되는 기업은 1~2년 내 추이를 보고 변경할 지 안할 지를 결정하는 후보군(등급전망) 관리를 하는데 등급감시대상에 롯데 계열사를 넣었다는 건 위험성이 크다고 본 셈이다.

 

올해 초 광주 화정아이파크 공사현장 붕괴사고가 발생한 HDC현대산업개발과 지주사 HDC조차도 등급감시대상은 받지 않았다.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이 두 회사를 장단기 등급 하향검토 대상으로 분류했다.

 

관건은 내년 6월 말과 12월 말이다. 올해 실적을 두고 평가하는데 신용평가사들은 6월에는 회사채 신용등급, 12월에는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정기평가한다.

 

최근의 신용등급 조정흐름을 코로나 19를 거치며 신용하락 기업이 많고, 신용상승 기업이 적었지만, 올 상반기의 경우는 신용상승 기업의 수가 하락 기업수보다 1.56배나 더 많았다고 나이스신용평가에서 분석했었다.

 

이를 등급 상하향 배율이라고 하는데 이 배율은 지난해 0.64배였다가 올 상반기 뛰어올랐다.

 

최근 SK증권은 이를 0.91배로 낮춰 집계했는데 한국경제가 무역적자와 경기둔화 양 방향에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타격을 준 요인이 해소가 되지 않는다면 한국기업의 신용도는 점차 떨어지게 되고, 큰 기업들 역시 돈줄이 마르게 된다.

 

정부도 손을 놓지 않겠다며 50조+a 유동성 지원책을 내놓기는 했지만, 최근에는 200조원 투입 이야기마저 나왔다.

 

50조로는 연말까지는 넘길 수 있겠지만, 내년 상반기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를 인수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 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만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시장 유동성 공급 확대 73조원, 채권시장안정펀드·증권시장안정펀드 참여 12조원, 그룹 내 계열사 자금 공급 10조원 등 총 95조원을 금융시장 안정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은행들을 위한 조치를 이미 마쳐 둔 상태였다. 한은은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융중개지원대출과 차액결제이행 및 공개시장운영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 대상 적격담보증권 확대 등을 결정했다.

 

적격담보증권 대상에 은행채 및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9개 공공기관 발행채권을 추가했는데, 은행은 은행채를 담보로 더 많은 돈을 끌어들일 수 있다. 이렇게 끌어들일 수 있는 돈은 약 29조원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이에 더해 6조원의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까지 결정했다.

 

김진태 강원지사가 걷어찬 국가 신용도 때문에 처음 ‘50조원+a’에서 ‘a’가 50조원보다 더 커지게 됐다. 그리고 이 ‘a’가 얼마나 더 늘어나게 될지 아직 예단하기 어렵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승주 기자 ksj@tfnews.co.kr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