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오후 2시 15분께 전남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180831/art_15334382205502_f3822a.jpg)
▲ 지난 4일 오후 2시 15분께 전남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정부가 잇따른 엔진 화재로 리콜 조치가 내려진 BMW 차량에 대한 정밀 분석에 본격 착수한다.
정부는 일체의 의혹을 남기지 않기 위해 발화 원인 분석에 산하 연구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조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민간 전문가를 최대한 참가시켜 민관 합동 조사팀을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BMW 측으로부터 엔진 화재와 관련한 기술분석 자료를 제출받았으며 앞으로 본격적인 분석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BMW 측이 제출한 기술자료는 이번 차량 엔진 화재가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고장으로 발생했다는 내용이다. 엔진에 장착된 EGR 결함으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다기관에 유입돼 구멍을 발생시키고 위에 장착된 엔진 커버 등에 발화돼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EGR 결함 외에 제어 소프트웨어 결함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흡기다기관의 내열성 문제 등 다른 이유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BMW의 가솔린 엔진 차량에서도 화재가 잇따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엔진 화재가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다른 이유 때문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국토부는 원점부터 다시 정밀 조사를 벌임으로써 BMW의 정확한 화재 원인을 찾아낼 방침이다. 이에 따라 BMW 측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하고 화재 차량 분석과 제각결함신청위 심의, 제작사 의견청취 등을 거치게 된다.
또 BMW 측이 제출한 기술자료가 심각한 영업기밀에 속하지 않는 내용이라면 민간 전문가에게 제공하고 의견을 청취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전문가들이 기술자료를 분석하면서 추가로 요구할 자료가 있는지 검토하고 앞으로 조사 방식도 정하게 될 것”이라며 “이번에는 사안이 중한 만큼 국민이 결과에 대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민간 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참가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BMW는 현재 리콜 대상으로 분류된 42개 차종, 10만6317대에 대해 긴급안전진단을 벌이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3시 기준으로 긴급안전진단을 마친 BMW 차량은 1만5337대이며 예약 대기 중인 차량은 3만6606대로 집계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