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업부 김성욱 기자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오는 29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한국판 CES’를 놓고 잡음이 무성하다. 정부 주도로 예정에 없던 행사를 열흘 만에 급하게 진행하려고 하니 시작부터 삐걱대는 모양새다.
물론 취지는 좋다. 이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19’에 가지 못한 기업과 소비자들이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들의 제품을 홍보하고 혁신성장 공감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업계는 “부실 행사로 인한 이미지 추락이 우려된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통상 기업들은 전시회 참가를 위해 짧게는 2~3개월 전부터, 길게는 6개월 전부터 준비를 한다. 하지만 열흘 만에 부스를 차린다는 건 결국 전시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의 참여율도 저조하다.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기업은 35개로 바다 건너 미국에서 열리는 CES에 참가한 전체 한국 기업(317개) 중 11%에 불과하다.
기업들의 입장도 이해가 된다. 정부가 나서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을 알리겠다고 나섰지만 전시회 효과가 불분명하다. 전시회가 열린다는 사실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을뿐더러 설 연휴 직전에, 그것도 CES에서 전시했던 제품을 ‘재탕’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런저런 잡음을 떠나 국내에는 이미 한국판 CES로 불릴 만한 행사가 매년 열린다. 올해 50주년인 ‘한국전자전(KES)’이 있고 해외에서 참여하는 ‘월드 IT 쇼’도 10여 년째다. 차라리 이들의 부흥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 확대와 기업들의 참여 유도 정책을 고심했어야 한다.
국내 전시 산업의 부흥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글로벌 트렌드를 선점하고 글로벌 기업들의 첨단 기술과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먼저 공개하자는 데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이견이 없다. 다만 그 시기와 방법이 다소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미국의 CES도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다. 50년이 흐른 오늘날 세계 최대 전시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매년 성장을 거듭해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단순히 일회성에 그칠 ‘보여주기식’이 아닌 튼튼한 내실을 다질 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