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우리은행이 내부 자금을 이용해 이란 기업인 엔텍합에 돌려줘야 하는 배상금 중 일부를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건에서 언급되는 614억원의 횡령금이 당초 우리은행이 엔텍합에 돌려줘야 하는 배상금 중 일부였기 때문이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금융당국 주문에 따라 엔텍합에 600억원대 돈을 내부 자금으로 건넸다. 해당 비용은 1분기말 회계에 손실로 반영된다.
이날 우리은행 관계자는 취재진에 “우리은행이 내부 자금으로 엔텍합에 배상금 중 일부를 우선 지급했고, 1분기말 회계에 손실로 반영될 것”이라며 “오는 16일 공시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10년간 잊힌 돈?
왜 이제야 드러났나
앞서 우리은행은 2010~2011년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최대주주로 있던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을 주관했다.
당시 엔텍합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계약이 파기되면서 엔텍합 소유주인 ‘다야니 가문’이 우리 정부를 상대로 투자자-국가 간 분쟁해결(ISD) 소송 제기했고 결국 우리 정부가 패소했다.
그 결과 다야니 가문은 배상금(한화 기준 약 740억원)을 받기로 돼 있었다.
해당 배상금은 그간 우리은행 계좌에 공탁자금으로 보관돼왔다. 대 이란 제재로 국제 송금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지급이 지연돼온 것이다.
그러다 올해 1월 미국에서 ‘배상금 송금을 위한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실(OFAC)의 특별허가서’ 발급이 이뤄지면서 배상금 지급이 가능해지게 됐다.
그제야 4년간 드러나지 않았던 횡령 사건의 실마리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란으로 이달까지 배상금을 송금해야 해서 계좌를 열었더니 금액이 비어있던 것이다.
우리은행 직원 전씨는 배상금 중 일부인 614억원을 2012년 10월 12일과 2015년 9월 25일, 2018년 6월 11일 등 세 차례에 걸쳐 빼돌렸지만 개인 계좌에서 2018년 6월 11일 마지막으로 인출이 이뤄진 이후 4년간 들통나지 않았다.
첫 횡령이 이뤄진 날짜 기준으론 약 10년간 그야말로 ‘잊혀진 돈’이었다.
횡령액 회수 가능성 불투명
고객 신뢰 회복 최우선
우리은행은 자체 내부감사를 통해 횡령 사건을 잡아냈다지만, 자의적인 자체 감사라고 보긴 어려운 측면이 있다. 엔텍합에 배상금을 지급해야 하는 시점이 돼서야 횡령 사건을 알아챘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 금융감독원의 검사도 11차례나 치러졌으나, 이 역시 미리 횡령 사건을 잡아내는데는 도움이 되지 못했다.
회계감사를 맡았던 안진회계법인과 삼일회계법인도 횡령 사건의 낌새조차 눈치채지 못했다.
다만 우리은행의 전체 재무구조를 따져볼 때 횡령액 614억원 자체가 치명타 수준은 아니다.
또 우리은행이 해당 금액을 1분기말 회계에 손실로 반영해도, 4대 시중은행 중 3위 자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단순 계산해 보면 우리은행은 지난 1분기 실적 보고에서 하나은행(6671억원) 보다 944억원 많은 순이익인 7615억원을 달성한 바 있는데, 여기서 614억원을 깎아도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은행이 향후 해당 횡령액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인 점은 우려의 목소리를 키운다.
우리은행은 횡령 직원인 전씨에게 구상권 및 손해배상 및 청구 소송을 제기해 자금을 최대한 회수하겠다는 방침인데, 전씨는 경찰 조사에서 횡령금을 파생상품과 동생 사업자금에 투자했고 전부 손실이 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은행 입장에서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은 고객 신뢰 회복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원덕 우리은행장도 임직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어서는 안 될 횡령 사고가 발견됐다. 한 사람의 악한 마음과 이기적인 범죄로 모두가 땀 흘려 쌓아 올린 신뢰가 한순간에 송두리째 흔들리고 말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더 굳게 일어서서 무너진 신뢰를 다시 쌓아 나가야 한다. 앞장서겠다”고 언급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