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비(非)아파트도 ‘대단지’ 효과…수도권 신규 대단지 어디

2022.01.22 11:59:18

 

 

 

(조세금융신문=장경철 부동산1번가 이사) 최근 아파트에 규제가 쏠리고 가격이 치솟자 비(非)아파트인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빌라 등으로 수요자가 몰리고 있다. 이처럼 비(非)아파트인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빌라 등에 수요자가 몰리면서 아파트에서 나타난 대단지 프리미엄이 이들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실제 아파트의 경우 대단지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1000가구 이상이 그것이다.

 

대단지일수록 매매가 상승률 강세

 

단지 규모가 클수록 관리비가 저렴한 것은 물론 조경이나 커뮤니티 시설, 첨단 시스템 등도 대단지에 걸맞게 크고 다양하게 갖추고 있어서다. 대단지 아파트들은 소규모 아파트에 비해 시세 상승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가 3.3㎡당 아파트 매매 평균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규모 1000~1500가구 미만 아파트는 9.8% 상승했으며, 1500가구 이상 역시 8.6% 올라 전체 상승률(8.4%)을 웃돌았다. 반면 300가구 미만, 300~500가구 미만의 아파트는 각각 5.5%, 7.3% 상승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시세를 리딩하는 랜드마크 아파트 역시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일 경우가 부지기수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지구 내에서 전용 60~85 이하 단지 중 가장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는 아파트는 총 1083가구 규모의 ‘별내아이파크2차’로, 3.3㎡당 평균 매매가가 2600만원이다. 별내동 평균은 3.3㎡당 2274만원으로 3.3㎡당 326만원이 높게 형성돼 있다.

 

아파트 가격 상승에 따라 비(非)아파트인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빌라 등이 대체 주거지로 관심 받는 가운데 500실 이상 대단지 오피스텔 등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먼저 대단지 오피스텔은 실내 수영장, 피트니스 등 아파트 못지않은 수준의 커뮤니티시설이 조성되는 경우가 많다. 세대 수가 많은 만큼 일반 오피스텔보다 관리비도 저렴하다. 상업·문화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이 같은 대단지 오피스텔은 공급이 적어 희소한 편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분양이 계획된 1000실 이상 오피스텔은 단 4곳에 불과하다. 지난해는 분양한 단지 185곳 중 3곳만이 대단지 오피스텔이었다. 2019년에도 총 290곳 중 4곳에 불과했다.

 

​대단지 오피스텔은 수요는 받쳐주지만 공급이 적어 준수한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공급된 ‘청라국제도시역 푸르지오 시티’는 1630실 모집에 1만 4405명이 접수해 평균 8.8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타입 마감됐다. 지난해 6월 분양한 ‘e편한세상 시티 부평역(1208실)’은 평균 7.47대 1의 청약 경쟁률을 올렸다. 

 

​매매가격도 상승세다. 2019년 5월부터 지난달까지 2년간 500세대 이상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3.3㎡당 1695만원에서 1898만원으로 11.97% 상승했다. 400~500세대가 9.13%로 뒤를 이었고 ▲100~199세대 7.54% ▲200~299세대 7.27% ▲300~400세대 2.87% ▲100세대 미만 1.35%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시형 생활주택은 전용 85㎡ 이하 300가구 미만으로 공급되며 단지형 다세대·연립형 주거시설로 단지 규모는 연립보다 크고 오피스텔보다 작다. 2009년 이명박 정부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차장 기준 등 건축규제를 완화하며 처음 도입했다.

 

​주거형태에 따라 크게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등 3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단지형 연립·다세대주택은 가구당 주거 전용면적 85㎡·4층 이하, 연면적 660㎡초과로 건축한다.

 

최대 300실 미만으로 건축되기 때문에 200실 이상이면 대단지로 간주된다. 오피스텔과 함께 대단지로 공급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역세권 상업지에 공급되기 때문에 풍부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단지가 클수록 브랜드 시공사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 공급되는 단지의 경우 아파트와 같은 평면구성과 상품설계에 나서고 있으며 각종 편의시설과 도시형 주택의 최대 약점인 주차공간 확보면에서 유리하다.

 

​최근 정부에서는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의 건축 허용 전용면적 상한을 기존 50㎡에서 60㎡까지로 확대하고, 공간 구성도 애초 2개에서 최대 4개(방 3개와 거실 1개)까지 완화하기로 해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빌라의 경우도 대단지가 선호된다. 세대 수가 많은 신축빌라의 경우 단지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깔끔한 인상을 준다는 것. 조경이나 주차장, 커뮤니티 등 단지 내 주민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는 경우 입주민들의 생활이 더 윤택해지고 집을 되팔 때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처럼 까다로운 주택청약 조건과 더불어 아파트 매매가, 전세가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비아파트로 눈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대단지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 빌라 등의 경우도 아파트와 같이 대단지를 선호하는 추세라 내 집 마련 수요자는 주목해볼 만하다고 말씀을 드리고 글을 마치고자 한다.

 

 

 

[프로필] 장경철 부동산일번가 이사
•(현)중앙일보 조인스랜드 부동산 칼럼리스트
•(전)네이버 부동산 상담위원
•(전)아시아경제 부동산 칼럼리스트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경철 부동산1번가 이사 2002cta@naver.com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