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국제 유가가 소폭 하락하면서 수입 제품의 원화 환산 가격 수준도 7개월 만에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11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30.17로 10월(130.92)보다 0.6% 하락했다.
![<strong>수입물가지수 추이 </strong>[자료=한국은행]](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1250/art_16394401226942_c767cb.jpg)
▲ 수입물가지수 추이 [자료=한국은행]
전월 대비 기준으로 지난 5월 이후 7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지만,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여전히 35.5%나 높은 수준이다.
전월 대비 변동률을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 중 광산품(-1.3%), 중간재 가운데 1차금속(-2.1%), 석탄 및 석유제품(-0.8%)이 떨어졌다.
11월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한 달 새 1.6%(배럴당 81.61달러→80.30달러) 내린 영향이다.
한은도 "국제 유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공산품과 1차 금속제품 중심으로 수입 물가가 하락했다"면서도 "하락세가 이어질지는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strong>수출물가지수 등락률</strong> [자료=한국은행]](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1250/art_16394402345667_a32ac0.jpg)
▲ 수출물가지수 등락률 [자료=한국은행]
11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도 10월(116.93)보다 1.0% 낮은 115.80으로 집계됐다. 작년 11월 이후 12
개월 만에 떨어졌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25.5% 뛰었다.
10월과 비교해 농림수산품(-2.1%), 석탄 및 석유제품(-5.2%) 등의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세부 품목에서는 TV용 LCD(액정표시장치)가 6.1%, 경유와 제트유가 각 3.4%, 4.0% 떨어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