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잔=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1/art_167867376533_ec98ee.jpg)
▲ [시잔=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무역적자가 올해 두 달 10일 만에 지난해 반절 수준까지 치솟았다.
3일 관세청에 따르면 3월 10일(통관기준 잠정치)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227억7500만달러로 나타났다.
일평균 수출액은 27.4%나 폭락했다.
한국은 2000년 이후 2008년 금융위기(132억6700만 달러 적자)를 제외하고 2021년까지 한 차례도 무역적자를 겪은 바 없다.
그러다 지난해 477억8500만 달러 등 무역적자가 역대 최악으로 솟구쳤다.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수요 위축이 있긴 했지만, 중국 쪽 무역적자가 치명적이었다.
이러한 추세는 이달 1~10일 수출입 현황에도 이어지고 있다.
3월 1~10일 사이 수출은 158억 달러, 수입은 20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은 -16.2%(30.5억 달러↓), 수입은 2.7%(5.6억 달러↑) 증가했다.
수출 영역에선 승용차가 133.7% 대폭 증가했지만, 반도체(△41.2%), 석유제품(△21.6%), 무선통신기기(△31.9%), 정밀기기(△23.9%) 등은 줄줄이 감소했다.
중요한 건 수출 국가인데 미국(5.6%), 인도(5.5%) 등은 수출이 늘었지만, 국내 최대교역국인 중국에서 –35.3%나 기록한 게 치명적이었다. 이밖에는 유럽연합(△6.2%), 베트남(△16.4%), 일본(△7.3%) 등의 수출이 줄었다.
수입 영역에선 반도체(1.5%), 기계류(11.8%), 석탄(31.9%) 등 증가가 늘고, 원유(△3.1%), 가스(△1.9%) 등은 감소했다.
수입국 별로는 중국(10.1%), 미국(4.3%), 대만(27.6%) 등이 증가했으며, 유럽연합(△8.8%), 일본(△5.4%), 호주(△9.7%) 등은 줄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