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삼정KPMG 제공]](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1042/art_16348654538284_c749ff.jpg)
▲ [자료=삼정KPMG 제공]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기업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시 외부전문가를 활용하는 기업 비중이 총 6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정KPMG(회장 김교태)가 자산 5천억원 이상 136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21 내부회계관리제도 담당조직 서베이 리포트’에 따른 결과다.
![[자료=삼정KPMG 제공]](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1042/art_16348654542124_44b327.jpg)
▲ [자료=삼정KPMG 제공]
보고서는 “미국의 경우도 ICFR 도입 초기에 외부전문가 활용 비중이 70%를 상회했고 이후 내부조직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바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 대상 136개사 가운데 경영진에 의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 평가를 담당하는 조직(이하 ICFR 평가담당조직)을 보유한 회사는 128개사(94%)로 전년(84%) 대비 10%p 늘었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에서는 64개사 중 63개사(98%)가, 자산 5천억원 이상 2조원 미만 기업에서는 72개사 중 65개사(90%)가 ICFR 평가담당조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ICFR 평가담당조직을 보유한 128개사 중 58개사(45%)는 내부회계관리조직을 신설했으며, 조직 총원 평균은 전년과 동일한 3.4명으로 집계됐다.
ICFR 평가담당조직을 보유한 128개사 중 평가담당조직의 최고책임자가 기업 재무이사(CFO)인 회사는 84개사(66%)이며, 이 중 83개사의 CFO가 내부회계관리자를 겸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장훈 삼정KPMG 내부회계관리제도 전문조직 리더는 “ICFR 평가담당조직의 최고책임자와 내부회계관리자가 동일한 경우, 평가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독립성 보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자료=삼정KPMG 제공]](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11042/art_16348654549762_f4fbc2.jpg)
▲ [자료=삼정KPMG 제공]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의 중요한 고려요소인 IT 시스템과 관련하여, 모회사와 자회사간의 IT 통합도가 70% 이상으로 높은 기업의 비중은 20%에 불과했으나, 통합도가 30% 미만으로 낮은 기업의 비중은 58%로 다수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모회사와의 IT 시스템 통합정도가 높다면 구축 시 용이한 점이 많으나 통합정도가 낮다면 구축 및 운영에 충분한 시간, 인력 등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응답 기업 136개사 중 131개사(96.3%)가 감사(위원회)를 위한 ICFR 감독 지원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51개사(37.5%)는 경영진 평가조직과 별개의 조직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유경 삼정KPMG 내부회계관리제도 전문조직 부 리더는 “감사(위원회) 산하의 ICFR 평가담당조직이 경영진의 ICFR 운영실태평가를 수행하고, 감사(위원회)가 그 과정과 결과를 충분히 관리·감독한다면, 단일 조직에 의한 일원화된 평가절차로써 경영진 평가와 감사(위원회) 평가·감독이 동시에 수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러한 일원화된 평가체계를 통해 평가부담과 비용 뿐만 아니라 독립성 이슈도 해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