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권영지 기자) 수소차량에 운전자가 직접 연료를 주입하는 ‛셀프 충전’이 가능해졌다. 그간 안전상의 이유로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금지돼 있던 수소 연료 셀프 충전이 정부의 규제 개선을 통해 지난 8월 30일부터 도입됐다.
다만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수소충전소에서만 셀프 충전이 가능하다. 셀프 충전이 시작된 지 한 달이 된 지금, 해당 수소충전소 운영하는 수소에너지네트워크 (하이넷)에서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김용수 부장을 만나 충전소 경제성과 셀프 충전의 안전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물어봤다.
Q. 셀프 충전을 하러 오는 손님들이 많나?
A. 충전소 직원에게 수소차 충전을 위해 오는 손님들은 많지만 셀프 충전을 하러 오는 손님들은 아직 없다. 전국에서 이곳 T2 수소충전소만 셀프 충전을 운영해 잘 알려지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운영하는 수소버스가 주요 고객이다. 아직 수소차가 많이 보급돼 있지 않아 공항 수소버스가 없으면 운영이 힘들다. 버스가 일반 차량 4대 값을 한다. (이번에 환경부에서 부산시에 수소버스 1000대 보급할 계획이라던데) 그렇게 되는 게 맞다고 본다. 수소버스 등 상용차가 경제성도 뛰어나고 수소 인프라 확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Q. 수소 셀프 충전, 일반 국민 누구나 가능한가?
A. 가능하다. 다만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실시하는 온라인 교육을 꼭 수료해야 한다. 한 번 수료하고 나면 그 다음부턴 자유롭게 수소차에 셀프 충전을 할 수 있다. 수소는 그 자체로 매 우 안전한 물질이지만 발화 요인이 있을 경우 다른 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사고가 날 수도 있다. 모든 설비는 다 어느정도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셀프 충전이 가능해졌다는 것 자체가 그 안전성이 검증된 것이다.
Q. 아직은 수소충전소에 대한 국민 공포심이 있는 것 같은데?
A. 그렇다. 사실 기자님 집 옆에다 수소충전소 짓는다고 하면 아마 플랜카드 들고 반대할 것 같다. 충전소 구축을 하려고 하면 이에 대한 민원이 굉장히 많다. 사람들이 수소를 생각할 때 ‘수소 폭탄’을 자꾸 떠올리는데 완전히 다른 문제다. 오히려 LPG나 도시가스보다 더 안전한 게 수소다.
처음에 주유소가 생겼을 때도 두려워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주유소가 전국 여기저기에 쫙 깔려있는 지금은 누구나 가서 주유를 하지 않나. 그것처럼 수소충전소 인프라가 많이 구축되면 접근성이 높아지는 만큼 수소에 대한 공포심도 줄어들 것이라고 본다.
Q.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
A. 우리 하이넷은 전국 수소충전소의 25~30%를 운영하고 있는데 비용과 운영 측면에서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 나머지 충전소는 지자체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정부 예산이 편성되지만, 하이넷이 운영하는 수소충전소의 경우 충전소를 구축할 때만 정부 지원금이 나온다.
현재 정부 지원은 초기 인프라 구축하는 데만 집중적으로 몰려있지, 실질적으로는 지원이 그렇게 많지 않아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수익으로 충전소를 운영을 해야하니까 어려운 상태다. 지금 보다시피 수소 충전을 하러 오는 차도 적다. 공항에서 운영하는 수소버스가 아니면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가 수소산업을 발전시키려면 인프라 구축에서 지원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인프라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도 지원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수소산업이 장기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지속, 발전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시된 수소 셀프 충전 현장은 예상과 달리 수소를 충전하러 온 차량이 거의 없었다. 수소충전소를 찾은 한 시민은 “수소차를 타고 다니며 폭발할까 걱정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충전소가 더 늘어나 접근성이 높아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인프라가 갖춰지는 만큼 국민 수용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수소 안전성을 철저하게 운영·관리하면서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국민들도 점점 신뢰하지 않을까. 한편으로는 김용수 하이넷 부장의 말처럼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만 정부가 집중하는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수소산업이 더욱 발전하고 지속가능한 산업이 되려면 정부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만 전념할 게 아니라 산업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도 투자를 해야 한다.
현재 국제적으로 수소가 화석에너지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와 국회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계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 촘촘하고 세심하게 정책적 지원을 한다면 말 그대로 수소가 ‘초격차’산업으로 성장해 세계를 선도할 수 있지 않을까.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