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토 면적 10.5㎢ 증가…여의도 3.6배 규모 확대

2025.03.31 11:26:07

개발·매립 등으로 국토 면적 확장…공간정보 관리 중요성↑

[그래프=국토교통부]

▲ [그래프=국토교통부]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지난해 국토 면적이 1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의도 면적(약 2.9㎢)의 3.6배에 해당하는 규모로, 각종 개발 사업과 간척·매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지적통계’를 다음 달 1일 공표한다고 31일 밝혔다.

 

지적통계는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별, 지목별, 소유자별로 필지·면적을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국토 면적은 10만459.9㎢(3만9750필지)로 전년보다 10.5㎢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10.5㎢ 증가한 수치다. 특히 수도권 및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개발 사업이 면적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증가분은 여의도 면적(윤중로 제방 안쪽 기준 2.9㎢)의 3.6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인천시 경제자유구역 매립 준공과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 등 토지개발사업으로 면적이 늘었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상북도(18,428.1㎢)가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했고, 이어 강원도(16,830.8㎢), 전라남도(12,363.1㎢)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특별자치시(465.0㎢), 광주광역시(501.0㎢), 대전광역시(539.8㎢)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기록했다.

 

최근 10년간 국토 이용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산림과 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1630.1㎢(-2%) 감소한 반면, 생활기반시설(학교, 주거용지)은 507.5㎢(16%) 증가했다.

 

산업기반시설(공장·창고)은 276.7㎢(28%), 교통기반시설(도로·철도·주차장 등)은 434.9㎢(13%) 증가하며 인프라 확충이 지속되고 있다. 또 휴양·여가시설(공원, 체육시설, 유원지)도 254.1㎢(47%) 증가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주거 ·산업용지와 기반 시설 인프라의 확충이 뚜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생활기반 시설 중 특히 아파트·다세대 등 집합건물 면적이 10년 전보다 206.4㎢(38.8%) 늘어나며 증가 폭이 컸다. 도시 집중 현상에 따른 주거 방식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토지이용현황을 지목별로 보면, 산림과 농경지(전·답·과수원)가 전체 국토 면적의 약 81.3%를 차지한다. 비율이 높은 지목은 임야(63.0%), 답(10.8%), 전(7.4%) 순이다.

 

10년 전과 비교해 전은 3.4%, 답은 5.4%, 임야는 1.2% 줄었다. 같은 기간 대지와 도로는 각각 16.8%, 13.1% 증가했다.

 

국토를 소유자별로 분석해보니 개인이 49.6%를 보유했고, 국유지가 25.6%, 법인 소유는 7.6%였다.

 

지난 10년간 개인 소유 토지는 4.6% 줄었지만 국유지는 3.6%, 법인 소유는 13.2% 증가했다.

 

유상철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제도과장은 “지적통계는 전 국토의 면적과 이용현황 등의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 만큼, 토지 관련 정책수립, 학술 연구 등에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개 기관에 배포하고, 전자파일 형태(PDF)의 전문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정욱 기자 lupin7@tfnews.co.kr



관련기사




PC버전으로 보기

회사명 : 주식회사 조세금융신문 사업자 등록번호 : 107-88-12727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7길 43-1 (신사동 171-57) 제이제이한성B/D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713 등록일자 : 2011. 07. 25 제호 : 조세금융신문 발행인:김종상 편집인:양학섭 발행일자 : 2014. 04. 20 TEL : 02-783-3636 FAX : 02-3775-4461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