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동구 소재 아파트에서 찾아낸 합성대마 1.2kg_박스 내부. [사진=부산세관]](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3602353878_efc36e.png)
▲ 부산시 동구 소재 아파트에서 찾아낸 합성대마 1.2kg_박스 내부. [사진=부산세관]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2만명이 동시 투입할 수 있는 합성대마 등 마약류 약 7.1kg 밀수·유통에 가담한 20대 2명이 검거됐다. 이들은 고수익 알바라는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텔레그램에서 활동하는 마약 총책에게 포섭돼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본부세관(세관장 김용식)은 24일 26세 여성 A씨를 지난해 6월 구속 송치하고, 26세 남성 B씨를 올해 1월 불구속 송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은 해외에서 밀반입한 합성대마를 국내에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유통책 B씨 서울시에서 합성대마 은닉 중인 장면. [사진=부산세관]](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3604382971_551d3b.png)
▲ 유통책 B씨 서울시에서 합성대마 은닉 중인 장면. [사진=부산세관]
국제우편 통해 밀반입… 부산세관 추적 수사로 검거
해당 사건은 지난해 5월, 인천공항세관이 미국발 고농축 액상대마 700g을 적발하면서 수사가 시작됐다. 부산세관은 해당 물품을 추적해 통관책 A씨를 검거했으며, 추가 조사에서 A씨가 과거에도 베트남발 합성대마 4.5kg과 미국발 액상대마 700g을 수취한 사실을 밝혀냈다.
수사 과정에서 A씨가 자신의 자택에서 마약류를 소분한 흔적이 확인됐고, 이와 함께 소위 ‘던지기’ 수법으로 합성대마 1.2kg을 수원 등지에 유통한 B씨의 존재도 포착됐다.
B씨, 경찰에 이미 검거… 합성대마 국내 유통 차단
B씨는 부산세관이 수사망을 좁히던 중 경기북부경찰청에 의해 던지기 방식으로 마약을 유통하던 현장에서 검거돼 이미 교도소에 수감된 상태였다.
부산세관은 추가 수사 과정에서 베트남발 합성대마 1.2kg이 부산 동구의 한 아파트에 배달된 사실을 확인하고 신속히 현품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약 2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의 마약이 국내에 유통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했다.
![유통책 B씨 서울시에서 합성대마 은닉 중인 장면. [사진=부산세관]](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3604683877_ef36d7.jpg)
▲ 유통책 B씨 서울시에서 합성대마 은닉 중인 장면. [사진=부산세관]
"고수익 알바" 미끼…SNS 통해 젊은층 포섭
A씨와 B씨는 서로 일면식도 없는 사이였으며, ‘고수익 아르바이트’라는 유혹에 빠져 텔레그램에서 활동하는 마약 총책에게 포섭된 것으로 밝혀졌다.
총책은 텔레그램을 통해 이들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고, 대가는 추적이 어려운 무등록 가상화폐 환전상을 통해 지급했다. 하지만 부산세관의 추적 수사로 결국 법망을 피하지 못했다.
부산세관 관계자는 “SNS에 익숙한 젊은층을 대상으로 마약 판매상이 접근해 고액의 금전을 미끼로 범죄에 가담하도록 유혹하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해외 불법 마약류의 국내 반입을 엄중히 단속하고, 마약 밀수입자 검거 활동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국민들도 마약류 밀반입을 발견하면 관세청 밀수신고센터(☎125)로 적극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부산세관은 부산지방검찰청, 경기남부경찰청 등과 공조해 동일한 방식으로 마약을 밀수·유통한 텔레그램 총책에 대한 수사를 계속 진행 중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