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흐림동두천 16.1℃
  • 흐림강릉 15.0℃
  • 흐림서울 17.5℃
  • 흐림대전 18.6℃
  • 대구 15.7℃
  • 울산 14.9℃
  • 광주 15.8℃
  • 부산 14.8℃
  • 흐림고창 13.6℃
  • 구름많음제주 17.2℃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7℃
  • 흐림금산 17.2℃
  • 흐림강진군 15.5℃
  • 흐림경주시 15.4℃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국내경제 매서운 한파 불어닥치나…한경연, 韓경제성장률 0.4%p 하향조정

고금리로 내출시장 얼어붙고 글로벌 경기둔화에 수출도 꽁꽁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출 부진에다 고금리에 내수시장까지 위축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이 1.5%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기존 1.9%에서 0.4%p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경은은 지난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1.9%로 예상했지만, 경기 위축 속도가 빨라지자 전망치를 대폭 축소했다.

 

이는 기획재정부의 1.6%,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의 1.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8% 보다 낮은 수치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전망치인 1.5%와는 같다.

 

한경연은 글로벌 경기둔화를 극복할 국내 성장동력이 없어 올해 본격적인 불황 국면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나아가 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 감소와 자영업자 소득 감소,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등으로 소비가 한층 더 위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내수 부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 전망치를 지난해(4.4%) 보다 2.0%p 낮춘 2.4%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의 공격적 투자에도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조달 비용 부담 증가로 인해 역성장(-2.5%)할 것으로 관측했고, 건설 투자도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 차질이 발생하면서 역성장(-0.5%)을 벗어나지 못 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한경연은 수출 역시 반도체 수출 부진 영향으로 1.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수출 증가율인 3.1%와 비교해 1.9%p나 낮은 수준이다.

 

경장수지도 서비스 수지 적자가 늘면서 145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진단했으며,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323원보다 108원 떨어진 1215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급진적 긴축 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 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를 가져오면 성장률의 감소폭이 더 커질 것”이라며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위축 폭이 예상보다 커지거나 반도체 이외 주력 수출 품목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면 수출 증가세도 더욱 약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물탐구]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 ‘7년 약속’ 지킬 묘수는?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환주 대표가 이끄는 KB라이프생명이 올해 1월 본격 출항을 알렸다. KB라이프생명은 KB금융그룹의 생명보험회사인 KB생명보험과 푸르덴셜생명보험의 통합법인으로 이를 이끌 초대 수장으로 선임된 이 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이 대표의 행보에 기업의 백년대계가 달렸다. 물리적 결합이 실현됐으니 앞으로 중요한 과제는 화학적 결합이다. 작은 조직이 큰 조직에 통합 흡수되는 형태가 아니고 덩치가 큰 두 조직이 합쳐진 만큼 유기적인 결합이 승부를 좌우할 키포인트다. 그런 만큼 이 대표의 행보 또한 ‘화합’에 방향이 맞춰져 있다. 그는 KB라이프생명 대표 후보이던 시절부터 KB생명과 푸르덴셜생명 임직원들에게 “‘다르다’와 ‘틀리다’는 다른 말이다. 양사 임직원은 지금까지 서로 달랐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누누이 강조했다. 자세를 낮추고 임직원 말에 귀 기울이는 ‘스킨십 경영’을 통해 대등한 규모의 두 조직이 물리적 결합을 넘어 화학적 결합에 성공하게 하는 것, 임기 내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대표의 발걸음이 분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7년 후인 2030년 ‘생보업계 3위 달성’을 약속했다. 두 계열사 간 통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