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30.2℃
  • 구름많음강릉 28.3℃
  • 흐림서울 31.3℃
  • 대전 23.6℃
  • 대구 24.1℃
  • 울산 23.3℃
  • 광주 23.7℃
  • 부산 22.6℃
  • 흐림고창 23.6℃
  • 제주 28.2℃
  • 구름많음강화 29.3℃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2.8℃
  • 흐림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4.2℃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중국 일부 품목 수입소비세 인상으로 수입업계 울상

-수입소비세, '알코올' 취소하고 '술과 알코올'을 '술'로 수정하여 부가

(조세금융신문) 중국 정부는 배기통이 250ml미만인 소형 오토바이의 수입소비세를 취소하고, 250ml 오토바이 이상인 오토바이 경우엔 3% 및 10%의 소비세를 징수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자동차 타이어도 수입소비세를 취소했으며, 자동차와 유관한 휘발유의 경우에도 소비세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연휘발유는 수입소비세를 취소하고, 무연휘발유로 통합하여 수입소비세를 부가한다. 
 
또한 알코올의 경우도 수입소비세를 취소하고, '술과 알코올' 품목을 '술'로 수정하여 수입소비세를 부가한다. 
 
작년 12월 1일부터 위의 항목 부분의 수입소비세가 바뀌어 징수를 하고 있으며, 지난 1월 13일부터는 일부 정유제품의 수입세를 인상 조정 시행령이 내려진 만큼 수입소비세 해당 관련 업계에는 긴장하고있다. 소비세가 폐지 될 경우 판매에 도움이 되지만 일부 소비세가 인상이 될 경우는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수입품목과 관련한 업계의 고민은 작년 경기 둔화의 긴장감과 맞물려서 크나큰 근심거리가 되고있다. 이에 우리 기업들도  중국에 수출할 상품에 대해서는 중국의 수입 소비세 적용 항목을 제대로 파악하고 올 수출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출처: GBD공공외교문화교류중심] 

 
▼    아래는 해관총서가 시행 발표한 공고 원문 (중국어, 한글)입니다. 
  
关于调整进口环节消费税政策的公告
海关总署公告2014年第85号
 

经国务院批准,现将进口环节消费税政策调整事项公告如下:
一、取消汽缸容量250毫升(不含)以下的小排量摩托车进口环节消费税。气缸容量250毫升和250毫升(不含)以上的摩托车继续分别按3%和10%的税率征收进口环节消费税。
二、取消汽车轮胎税目。
三、取消车用含铅汽油进口环节消费税,汽油税目不再划分二级子目,统一按照无铅汽油税率征收进口环节消费税。
四、取消酒精进口环节消费税,“酒及酒精”品目相应改为“酒”,并继续按现行进口环节消费税政策执行。本公告自2014年12月1日起执行。
 
海关总署
2014年11月28
수입소비세 조정에 관한 공고
해관총서 공고 2014년 제85호
 
국무원의 승인 하에 수입단계소비세 정책 조정사항을 아래와 같이 공고한다.
1.    배기통 용적이 250ML미만인 소 배기량 오토바이의 수입단계소비세를 취소한다. 
배기통 용적이 250ML인 오토바이 및 기통 용적이 250ML이상(250ML 제외)인 오토바이에 대해서는 각각 3% 및 10%의 세율을 적용하여 수입단계소비세를 징수한다.
2.    자동차 타이어 항목을 취소한다. 
3.    자동차용 유연휘발유의 수입단계소비세를 취소한다. 휘발유 세목의 2급세목을 취소하고 일률 무연휘발유로 통합하여 수입단계소비세를 징수한다. 
4. 알코올의 수입단계소비세를 취소하고 "술과 알코올" 품목을 "술"로 수정하여 현행 수입단계소비세 정책에 따라 시행한다. 
본 공고는 2014년12월1일부터 집행
 
해관총서
2014년 11월 28일

중국 수입소비세;.jpg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양극화’ 못막은 칸막이 행정으로 ‘저출생’ 난제를 풀겠다고?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정부가 저출생을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하고 가칭 ‘저출생대응기획부’를 부총리급 부처로 새로 만든다는 구상을 밝혔다는 소식을 듣고 생각이 많아진다. 교육·노동·복지는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행정부처와 무관치 않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처간 칸막이’부터 부숴야 한다. 부처끼리 서로 협력해도 모자를 판에 부처 신설로 풀겠다니. 공동체의 난제를 풀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 걸 솔직히 인정한 셈이다. 그래서 더 착잡한 것이다. 한편으로 첫단추가 잘못 끼워진 나라 행정의 실타래를 풀 엄두가 나지 않으니 오죽했으면 저런 방향을 잡았을까 하는 안타까움도 없지 않다. 하지만 수십조원을 투입하고도 저출생 가속화를 막지못한 지난 정부들 아닌가. 부처신설 발상을 접하고 정책실패의 ‘기시감’부터 드는 것은 비단 기자만이 아닐 것이다. 부처 신설보다 “다른 정부 부처와 협력을 잘 한 공무원들이 더 높은 인사고과를 받도록 하면 된다”는 ‘뿌리규칙(Ground rules)’을 공고히 해야 한다. 물론 조선시대이래 이어져온 ‘이호예병형공’의 카르텔을 깨는 게 쉽겠는가. 하지만 그걸 깬 효과가 나와야 실제 출생률이 바닥을 찍고 반등할 수 있다. 그게 핵심이다.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