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목이 따끔거리고 아픈 이유는 무엇일까. 흔히 편도염, 인후두염, 독감, 위산역류, 구내염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의 목 통증은 치료가 쉽다. 초기에 치료하면 별 고생하지 않아도 된다. 증상에 따라 한의원, 이비인후과, 내과, 치과 등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문제는 만성이 되었을 때다. 평소 목소리가 갈라지고, 목의 살이 서로 맞닿는 듯한 느낌의 고통을 받는 사람이 꽤 있다. 이 정도는 아니더라도 목의 건조감, 침 삼킴 부담감, 마른 헛기침을 달고 사는 사례도 적잖다. 모두 원인을 제때 제거하지 못하고, 오랜 시간 경과했기에 만성목이물감으로 악화된 결과다. 목이물감이 오래되면 한두 번 치료로는 완치가 어렵다. 그렇기에 성급한 환자는 이 병원, 저 병원 순례도 한다. 불편함과 답답함에 이 의사, 저 의사를 소개받는 닥터쇼핑 현상도 있다. 환자가 목이물감으로 병원을 찾으면 의사의 전문분야에 따라 병명이 다를 가능성도 있다. 대개 한의원에서는 매핵기와 후비루 빈도가 높다. 이비인후과 진단명은 인후두염, 편도선염, 기관지염이 많다. 내과에서는 역류성식도염 비율이 상당하다. 진단명에 따라 치료약도 달라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입냄새가 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입냄새 치료 노하우가 많은 한의사로부터 치료받는 게 좋다. 하지만 지금 당장 사람을 만나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입냄새 완화 응급조치를 하는 게 방법이다. 먼저, 입냄새가 나는지를 자가 진단한다. 손등을 혀로 핥은 뒤 3초 후에 코로 냄새를 맡아본다. 또 치아를 닦은 치실의 냄새를 맡아본다. 콧바람 확인도 유용하다. 윗입술을 끌어내리면서 아랫입술을 내밀어 콧구멍으로 바람을 불어넣는다. 몇 초간 두세 차례 진행하면 입냄새 여부를 느낄 수 있다. 종이컵에 입안 공기를 불어 넣은 뒤 냄새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무엇보다 가장 확실한 것은 옆의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이다.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입냄새를 치료하는 한의원이나 병원에서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하는 게 좋다. 기계를 이용해 측정하면 보다 객관적으로 입 냄새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다음, 입냄새가 나는 게 확실하면 응급조치를 한다. 일시적으로 입냄새를 완화 시키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이를 닦는다. 양치질을 하면 입안이 다소 상쾌해진다. 또 달콤한 사탕이나 캔디를 입에 무는 것도 도움 된다. 껌을 씹는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아주 옛날에는 사람이 안 살았다. 공룡이 살았다. 그 시절에는 입냄새 걱정이 없었다. 입냄새 고민은 현생인류가 출현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생인류 시작은 2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 사이로 볼 수 있다. 인류는 출현하면서부터 공동체 생활을 했다. 비록 원시적이지만 문화를 창조하고 향유했다. 생명 유지를 위해 타인과의 접촉과 교류를 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대에게 호감을 주어야 함을 알았다. 그런데 원시시대에는 위생환경이 열악했다. 입에서 냄새가 날 수밖에 없는 여건이었다. 이에 나름의 대비책을 세웠다. 바닷가 사람은 소금물로 이를 닦았고, 육지의 사람은 버드나무 등을 칫솔 대용으로 썼다. 인지가 조금 더 깨어난 뒤로는 자연의 식물에서 입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을 찾았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신화에서도 그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민족의 시조인 단군은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세웠다. 나라의 건국은 강력한 정치세력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빈번한 만남이 이루어졌음을 뜻한다. 사람들은 대인관계를 위해 당연히 입냄새를 없애야 하는 필요성을 느낄 수밖에 없다. 단군신화에 웅녀 이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말을 하는 데 불편하다.”, “전화를 받으려고 하는 데 목안의 살이 닿는 느낌의 통증이 있다.”, “목에 무엇인가 걸린 듯해 습관적으로 ‘큼큼’ 거리게 된다.”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자주 하는 하소연이다. 목 안을 내시경으로 검사하면 이물질이나 병변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물질을 확인하면 치료가 쉽다. 문제는 정밀검사를 해도 목 안에 전혀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다. 이 경우 양방에서는 흔히 “아무 이상이 없다. 예민한 성격이라 목이 불편할 수 있다. 마음을 편히 갖고 물을 자주 마시라”는 조언을 한다. 한방에서는 매실 씨앗이 걸린 것 같은데 뱉어지지도 않는 상태를 매핵기로 표현한다. 괜찮다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사회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불편해 하는 경우가 있다. 때로는 숨 쉬는 데도 지장이 있을 수도 있다. 이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입냄새가 날 확률도 높아진다. 목이물감을 부르는 10가지 이유를 알아본다. 첫째, 갑상선 질환이다. 후두의 아래에 위치한 갑상선의 기능 저하나 항진으로 목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다. 갑상선에 큰 혹이나 암이 있으면 무엇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입냄새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입안의 원인과 입안 외의 원인이다. 입안에서 냄새가 유발되는 경우는 입마름, 구강불결, 치주질환, 설태, 편도결석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입마름 비율이 높은 편이다. 입마름은 긴장, 불안, 스트레스,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어떤 이유에서이든 타액 분비가 줄면 입안의 정화작용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입안에 지독한 냄새를 유발하는 혐기성 세균이 증식 여건이 된다. 또 입마름은 소화 기능도 떨어뜨린다. 입안 외 원인은 호흡의 통로인 비강, 인후두, 기관지, 폐와 소화장부 등과 관계있다. 비강에 비염이나 축농증이 생기면 입냄새 개연성이 높아진다. 위산역류, 변비, 위장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헬리코박터균 감염, 당뇨, 쇼그렌증후군 등도 원인이 된다. 입안이 원인인 구강불결은 양치질을 잘하면 해소된다. 치주질환은 치과에서 치료를 받으면 좋아진다. 그러나 양치질을 깨끗하게 해도 냄새가 나면 다른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치과의 문턱이 낮아진 요즘에는 위산역류, 역류성식도염, 소화불량 등의 위장관계 질환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또 후비루, 비염, 축농증, 목이물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울화통은 스트레스가 쌓여서 생기는 우울증이다. 울화병(鬱火病)이라고도 하는 화병(火病)이다. 울화(鬱火)는 기가 통하지 못해 화(火)가 쌓인 상태다. 즉, 화병과 울화병은 심리적 불안이 원인으로 같은 질환이다. 억울한 감정과 분노의 감정을 해소하지 못하면 마음과 몸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자율신경 균형이 무너져 가슴 답답함, 소화불량, 입마름, 분노, 두통, 불면증, 입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몸의 열감, 목이 뭉친 느낌, 명치 통증, 어지러움도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또 중년 이후에 많은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발병 확률도 높아진다. 이 같은 상태가 만성이 되면 무력감에 빠질 수도 있다. 특히 분노와 불안, 긴장으로 잠을 설치기 쉽다. 만성 화병환자에게는 수면장애, 불면증, 소화불량이 잦다. 그 결과 입마름과 입냄새, 목이물감 개연성이 높다. 스트레스는 호르몬, 신경계, 내분비 불균형을 야기한다. 입안의 정상 세균총의 불균형을 가져온다. 만성 스트레스인 화병은 입안의 온도 변화를 불러서 박테리아 서식 환경도 바꾼다. 스트레스로 인해 위나 폐에 열이 발생하면 침의 분비가 적어져 입마름이 일어난다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인간은 냄새에 무딘 편이다. 인간에게 작동되는 후각 수용체는 300여개에 불과하다. 후각 수용기도 1,000여개로 다른 동물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 진화과정에서 후각이 퇴화되어 온 결과다. 사람의 후각은 지금도 퇴화 과정을 밟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사람은 냄새에 예민하지 않게 진화되어온 셈이다. 물론 냄새에 민감한 사람도 있다. 이는 후각수용기 발달 보다는 심리적 문제 비율이 높다. 냄새에 대한 심리적 예민함은 입냄새에서 두드러진다. 사람을 포함한 살아있는 생명체에서 냄새는 불가피하다. 다만 냄새가 미미해 거의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그런데 일부 예민한 사람은 입냄새의 굴레에 스스로 뻐져든다. 입에서 냄새가 심하게 난다고 인식한다. 이에 수시로 칫솔질을 하고, 물이나 구강청결제로 가글을 한다. 입안의 환경에 지나칠 정도로 신경 쓰지만 여전히 입냄새의 악몽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 이들은 주변에 “입냄새가 나느냐”고 묻기도 한다. “악취가 나지 않는다”는 답을 들으면 “왜 나는 느끼는 데, 너는 냄새를 맡지 못하냐” 등으로 고개를 흔드는 강박 증세까지 보인다. 구취를 많이 다루는 한의원의 진단에서 휘발성 황화합물(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사실상의 코로나 엔데믹 선언! 정부는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완화했다. 코로나19 확진자 격리의무가 해제되고, 마스크 의무 착용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등 일부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일상에서의 마스크 착용 여부는 1천229일 만에 자유로워졌다. 2020년 1월 20일 국내에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41개월만이다. 햇수로 3년 4개월이다. 오랜 기간 마스크 착용은 입냄새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마스크를 쓴 결과 사람들은 구취에 덜 민감하게 됐다. 입안에서 악취가 풍기는 사람도 잠시 동안은 마스크 덕을 볼 수 있었다. 마스크가 냄새를 가둬두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냄새가 마스크 안에 가득 찬 느낌이 들면 사람이 뜸한 곳에서 잠시 마스크를 벗는 응급조치 방법을 찾았다. 또 악취가 나도 마스크를 쓴 주위 사람은 입냄새에 둔감할 수밖에 없다. 역으로 마스크를 써 입냄새를 의식하기도 했다. 예전에 입냄새를 의식하지 않던 사람도 ‘혹시 나에게 구취가 있나’며 불안해 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스크가 입과 코를 가리면서 호흡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코로 쉬던 숨이 입으로 옮겨지게 된다.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고추 등 매운 음식을 먹으면 코끝이나 이마에 땀이 송글송글 맺히게 된다. 온도가 상승해 무더워도 땀이 분비된다. 긴장을 해도 땀이 흥건히 배일 수 있다. 사람은 온도나 음식, 심리적 자극을 받으면 땀이 맺히게 된다. 이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다만 지나치게 땀이 많이 분비돼 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면 질병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이 다한증(hyperhidrosis)이다. 땀의 분포에 따라 신체 전반에 나타나는 전신 다한증과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국소 다한증으로 나눌 수 있다. 국소 다한증은 주로 이마, 코끝, 손바닥, 발바닥, 서혜부, 간찰부, 겨드랑이, 회음부 등에 보인다. 다한증 원인은 가족력과 질병을 생각할 수 있다. 땀을 유발할 별다른 질환이 없는 경우는 가족력과의 연관성이 높다. 가족 중에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경우는 절반 정도에서 다한증으로 고생한다. 또 다한증 연관 질병은 감염성 질환, 내분비 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빈도가 높다. 약물 중독도 원인이 된다. 인체의 땀샘은 아포크린 땀샘과 에크린 땀샘으로 나눌 수 있다. 다한증은 주로 손바닥 발바닥 등에 분포하는 에크린 땀샘과 연관된다. 다한증은 어린 시절이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액취증이 있는 사람에게 힘든 계절이 여름이다. 여름에는 옷을 가볍게 입는다. 날씨도 고온다습한 경우가 많다. 겨드랑이에 나는 고약한 냄새가 금세 스멀스멀 주위로 퍼지는 환경이다. 암내로도 불리는 액취증은 겨드랑이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것이다. 주로 아포크린 땀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에서 그람 양성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냄새가 난다. 액취증이 겨드랑이 악취로 정의되는 이유는 아포크린 땀샘이 대부분 이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 사춘기 이후에 발생한다. 의복에 분비물이 묻어 있으면 냄새가 더 오래가게 된다. 통풍이 잘 안 되는 블라우스 등을 입으면 더 심해진다. 따라서 옷을 여러 겹 입는 겨울 보다는 가볍게 입는 여름에 냄새가 약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헐렁하고 가벼운 옷차림이기에 불쾌한 냄새가 곧바로 주위에 퍼지기 쉽다. 후덥지근한 여름이나 운동 후에는 땀을 더 흘리게 된다. 냄새 발생 개연성이 높아진다. 결국 액취증이 있는 사람은 여름에 더 심리적으로 위축될 소지가 있다. 냄새를 없애는 방법은 잦은 샤워다. 겨드랑이 털을 제거하고 수시로 씻으면 조금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