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1℃
기상청 제공

보험

메리츠화재, ‘속 편한 소화계질환보장보험’ 출시

업계 최초 ‘간담췌’ 관련 질병 진단비 개발
소화계 관련 부위별 암 진단비 세분화

 

(조세금융신문=안수교 기자) 메리츠화재가 현대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소화계 질환을 폭 넓게 보장할 '무배당 메리츠 속편한 소화계질환보장보험' 출시를 알렸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5일 “현대인이면 누구나 한번쯤 겪어보았을 만한 소화계 질환이 향후 더 큰 질병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신상품을 개발했다”라고 말했다.

 

이 상품은 비만·음주·흡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간농양과 특정담낭‧담관염, 급성췌장염과 같은 간담췌 관련 질병들을 보장하는 진단비를 업계 최초로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아울러 지방간으로 인해 추후 발병할 확률이 높은 간경화 및 간세포암 등 중증질환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방간대상질병관리지원비'도 선보였다. 간효소수치 80IU/L 이상을 동반한 지방간 진단 시와 간효소수치 200IU/L 이상을 동반한 지방간 진단 시로 세분화해 각각 보험금을 지급한다.

 

또 위, 대장, 간·췌장 등 소화계 관련 부위별로 암 진단비를 세분화해 보장한다. 기존 고객들이 소화계 관련 다빈도 암에 대한 보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입연령은 15세부터 65세까지며 보험기간 및 납입기간은 1종(갱신형)의 경우 10·20·30년만기, 전기납 2종(세만기형)은 80·90·100세 만기, 10·20·30년 납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