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24 G20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재무장관간 주요 의제는 부유세 도입이다. [이미지=셔터스톡]](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40626/art_17192093358185_bd1d40.jpg)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오는 7월 브라질에서 세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부유세가 의제로 부상한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17개국 국민의 68%가 부유세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층에 대해선 70%, 대기업에 대해선 69%가 세율 인상에 찬성했다.
반대는 11%,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가 18%, 모르겠다는 3%였다.
국제기구 로마클럽이 주도하는 지속가능 성장 프로젝트 ‘어스포올’(Earth4All)과 기후변화 단체인 글로벌 커먼스 연맹(Global Commons Alliance)이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한 설문조사 결과 G20 18개국 설문조사에서 17개국(중국 제외)에서 부유세 찬성 의견이 과반을 훌쩍 넘겼다.
![[출처=조사기관 IPSOS, 의뢰주 Earth4All and the Global Commons Alliance, 2024년 6월 Global Report]](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40626/art_17192093397567_e7e6a1.png)
설문조사는 경제와 생활방식 변화를 대비한 재원을 위해 부유층에 부유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한 지지 의사를 물었다.
부유세 지지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인도네시아(86%), 튀르키예(78%), 영국(77%), 인도(73%) 순이었다.
한국과 캐나다는 5번째로 71%가 지지의사를 밝혔다.
미국, 프랑스, 독일은 각각 67%, 67%, 68%의 찬성 의사를 밝혔고, 부유세 찬성률이 가장 낮은 나라들인 사우디아라비아(54%), 아르헨티나(54%), 덴마크(55%), 일본‧스웨덴(58%)도 반수 이상이 찬성 의사를 표명했다.
![[출처=조사기관 IPSOS, 의뢰주 Earth4All and the Global Commons Alliance, 2024년 6월 Global Report]](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40626/art_17192093389161_f3f1b5.png)
‘전 세계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얼마나 빨리 대응해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G20 18개국 국민 71%가 ‘10년 이내 즉각적 조치’라고 답했다.
멕시코가 91%로 가장 높았고, 케냐 86%, 남아공 83%, 브라질 81%, 아르헨티나‧인도네시아 튀르키예 80%, 프랑스 73%, 중국 72%, 영국 69%, 호주‧캐나다‧인도 68%, 덴마크 67% 순이었다.
한국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와 더불어 66%가 10년 이내 즉각적 조치에 지지 의사를 밝혔다.
지지의사가 가장 낮은 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52%)였으며, 일본(53%), 미국(62%), 이탈리아(62%) 등 순이었다.
각국 응답자 68%가 경제 성장 이상 복지, 친환경에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62%는 한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평가할 때는 성장률 대신 국민의 건강과 복지로 측정돼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현 자국 정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
정부가 단기간에 다수를 위한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39%, 훨씬 나중에야 다수를 위한 정책을 내놓을 것이란 응답도 37%에 불과했다.
거꾸로 말하면 60% 이상의 응답자들은 자국 정부나 정치인들이 다수 이익을 위한 정책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 이는 유럽 등 각지의 극우 세력 부상과 연계돼 있다.
다수 응답자는 세계 각국의 정치, 경제 체제가 바꾸어야 한다고 답했다.
G20 17개국 응답자의 65%는 자국 정치 체계에, 68%는 자국 경제 체계에 대변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어스포올 이니셔티브 공동 책임자 오웬 개프니(Owen Gaffney)는 “이 조사 결과는 G20 국가들에 부의 재분배라는 명확한 의무를 내리고 있다”라며 “광범위한 평등은 더 강한 민주주의를 구축하게 될 것이며, 이는 공정한 변화와 안정적 지구를 위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커먼스 연맹의 전무이사 제인 매드윅(Jane Madgwick)은 “G20 시민의 71%가 (기후변화에 대한) 10년 내 즉각적이고 포괄적인 조치를 지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어스포올 회장 겸 로마클럽 공동대표 샌드린 딕슨-데클레브(Sandrine Dixson Declèv)는 “이 조사는 G20 국가 시민들이 더 나은 복지, 더 많은 기후 해결책, 더욱 덜 불평등한 경제가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는 점을 재차 보여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유럽 선거에서 극우로 기울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사람과 지구에 동시에 유익한 경제를 도입하도록 그 책임을 물을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설문조사는 각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부유세와 기후변화 등 경제 및 정치적 변화에 대해 지지하는지를 물었다. 중국에서도 실시하긴 했으나, 일부 질문이 제외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