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일)

  • 맑음동두천 -9.7℃
기상청 제공

은행

한국은행, 지역 금융 공공기관 8곳과 인재육성 협약 맺어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한국은행이 지역 금융 공공기관들과 손잡고 인재육성에 나선다.

 

한국은행 광주 전남본부는 26일 지역인재 발굴과 육성을 위해 금융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협약에 참여한 기관은 금융감독원 광주 전남지원, 기술보증기금 호남지역본부, IBK기업은행 호남지역본부, 신용보증기금 호남영업본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광주지역본부, 한국산업은행 호남지역본부, 한국자산관리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등 8곳이다.

 

협약 기관들은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지역 대학생의 취업 역량 강화 교육, 금융 공공기관 현직자 멘토링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했다.

 

한국은행 광주 전남본부는 다음 달 15일 지역 소재 금융 공공기관 합동 취업 멘토링 행사를 할 계획이다.

 

또 협약과 별도로 지역민 대학생 고교생 등을 대상으로 한은 경제 마스터스, 금융경제 강좌, 경제교육 운영 등 지역 인재의 성장을 지원하고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도 충실히 하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위기의 한국경제, 최고의 경제정책은 탄핵정국 조기 종식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한국경제는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비상경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내수경제는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세수펑크 충격⟶고강도 민생 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에 노출돼 구조적 소득감소가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진 상태다. 이처럼 지난 몇 년간 경제 체질이 허약해질 대로 허약해진 상황에서 ‘12.3 내란 사태’가 충격 전이 경로인 환율시장을 때리면서 외환발 금융위기가 발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내 금융시장이 조직적 자본 유출 충격에 노출되면서 원-달러환율은 선험적 환율방어선인 1,400원이 완전히 뚫린 상태다. 국내 증시는 탄핵정국이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왕따 시장으로 전락해 버렸다. 내수경제는 성장 궤도가 기조적으로 낮아지는 저성장 함정에 빠질 위기에 처해있다. 내란사태발 경기충격으로 2024년 성장률이 2%대 초반에서 1%대 후반으로 주저앉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2년 연속 ‘1%대 성장’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 지난 60여 년 동안 한국경제가 1%대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한 사례는 5번에 불과한데, 금융위기가 아니면서도 1%대 저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