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정례회의를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9개 금융회사(신한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카카오뱅크, NH증권, KB증권, 교보생명, 한화생명, KB카드)의 10개 혁신금융서비스를 첫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신한은행의 경우 두 가지 내용의 서비스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먼저 ‘생성형 AI 기반 AI 은행원’을 선보이며 이를 통해 자연어 기반 금융 상담과 외국어 번역을 제공한다. 또 ‘생성형 AI 투자 및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선보이는데 자연어 기반 각종 뉴스요약과 과거 수익률 정보, 시장흐름 정보 등을 제공한다.
KB국민은행은 ‘생성형 AI 금융상담 Agent’를 통해 고객 질의시 고객 친화적 대화 및 상담을 제공한다.
NH농협은행은 ‘생성형 AI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를 선보인다. 맞춤형 시황 정보를 실시간 요약해 제공한다.
카카오뱅크는 ‘대화형 금융 계산기’ 서비스를 시행한다. 자연어 기반 금융상품 관련 이자 및 환율 등을 계산해준다.
NH증권은 ‘생성형 AI 대고객 시황정보 서비스’를 소개한다. 맞춤형 시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KB증권은 ‘AI 통합금융플랫폼 캐비’를 선보인다. 환전, 자산관리 등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보생명은 ‘보장분석 AI 서포터’ 서비스를 실시한다. 설계사에게 고객의 보장분석보고서에 기반한 맞춤형 설명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한화생명은 ‘생성형 AI 활용 고객 맞춤형 화법 생성 및 가상 대화 훈련 솔루션’을 통해 설계사에게 최신 뉴스 등을 통한 세일지 화법을 제공한다.
KB카드는 ‘생성형 AI 활용 모두의 카드생활 메이트’로 고객 상황에 맞는 카드상품 비교, 발급 등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실시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번 혁신서비스 지정과 관련해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신청이 141건이나 될 정도로 많이 접수됐고 이를 통해 금융회사들의 망분리 규제개선에 대한 열망과 혁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소비자들이 규제개선 혜택을 빠르게 체감할 수 있도록 금융회사들이 지정된 혁신서비스를 신속하게 시장에 출시하고 혁신과 보안의 균형을 위해 탄탄한 보안체계 하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지정 건 이외 나머지 신청 건들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혁신금융심사위원회 등 절차를 통해 법정기한내에 지정 등 처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는 지난 8얼 발표한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에 따라 금융회사의 생성형 AI 및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용이 폭넓게 허용됐고, 이에 따라 지난 9월 16일부터 27일까지의 혁신서비스 신청 기간 중 74개사의 141개 혁신서비스가 망분리 규제 특례를 요청하는 내용으로 신청‧접수됐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