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사진=조세금융신문]](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415/art_17443439646291_7f4a54.jpg)
(조세금융신문=손영남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수출 기업들을 향한 긴급 지원책을 마련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은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위기 대응을 위해 총 2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먼저 수은은 6.5조원 규모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관세 등 수출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 심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의 수출 및 해외진출을 지원키로 했다.
신용도가 낮고 대외 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는 최대 2%p까지 금리를 인하하여,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금융비용 부담 등 경영 어려움을 완화할 계획이다.
통상대응·신시장 개척·ESG 대응 등을 위해 수은이 자체 비용으로 지원하는 종합 컨설팅 서비스의 규모도 기존 50억원이던 것을 100억원으로 확대하여 우리 기업의 원활한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 수출관련 대출에 한해 무상 제공해 온 대출 통화전환옵션을 수입관련 대출까지 확대 시행한다. 통화전환옵션은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대출기간 중 최대 2회까지 대출통화를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무상부여하는 것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중소·중견기업에는 단비와 같은 호재다.
석유화학, 철강 등 어려움을 겪는 위기 기간산업에 10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대기업과 해외에 같이 진출했거나 국내에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에 3조원 규모의 상생 금융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극복하고 원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관련 지원책도 마련했다.
다양하고 충분한 판매처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신시장 개척 등 수출다변화 기업에 금리 인센티브와 함께 약 1조원의 금융을 제공하고, 미래 신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위해 R&D 관련 대출한도를 확대한다.
고율의 관세 등으로 영업활동에 애로가 예상되는 우리 기업의 해외소재 생산·판매법인에 대한 직접 대출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상업은행으로부터 사업소재국의 현지통화로 대출을 받는 경우 보증제공도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수은은 우리 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기존 대출 방식뿐만 아니라 첨단전략산업 등 신산업육성에 긴요한 투자금융, 지난해 신설하여 운영 중인 연 10조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기금 등 정책금융 수단을 총동원할 예정이다.

수은 관계자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주요국과 경쟁 심화 등 복합적 경제·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면서, “우리 기업이 신통상질서, 산업환경 재편 등 대외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