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8.0℃
기상청 제공

이슈

[특징주] 제이엠아이 29% 강세 '마이크로소프트 위조 투자'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제이엠아이 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제이엠아이는 435원(29.79%) 오른 1875원에 거래되고 있다.

 

제이엠아이는 마이크로소프트 관련주로 언급된 바 있다.

 

미국 거대 IT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일본 보험기업 '솜포'가 영국 커넥티드카 데이터 스타트업 '위조'(Wejo)에 투자한다.

 

위조는 29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와 솜포로부터 2500만 달러(한화 약 282억9500만 원)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위조는 버츄오소 에퀴지션과 3분기 내 합병 계약을 마무리하고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