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313/art_16802391814909_ab61e9.jpg)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정책금리가 빠르게 인상되면서 신흥국 투자자금도 큰 폭 순유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00년 이후 앞서 세 차례의 미 연준 통화정책 긴축기 중 처음 두 번의 긴축기에선 신흥국으로 포트폴리오 투자자금이 순유입됐으나, 2021년부터 시작된 이번 세 번째 긴축기에선 지난해 9월까지 큰폭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31일 한국은행은 ‘조사통계월보’ 실은 ‘미 통화정책 긴축이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서 한은은 “이번 긴축기에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과거에 비해 매우 빨랐다는 점에서 미 통화정책이 신흥국 투자자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2000년 이후 미국의 긴축기1(2004~2006년), 긴축기2(2014~2019년), 긴축기3(2021~2022년) 가눙데 장기간 큰 폭의 완화기조가 지속된 긴축기2 초기와 금리인상 속도가 시장 예상 수준을 넘어선 긴축기3에 투자자금 순유출이 발생했다.
한은은 19개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 요인 분석 결과로 “이번 긴축기 들어 금리 관련 변수 변화의 영향력이 다소 확대됐는데 이는 최근 미 연준의 정책금리가 빠르게 인상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결과는 미국 통화정책 긴축이 급격히 진행될 경우 신흥국에서 대규모 투자자금이 유출된다는 국제통화기금 등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은은 “이번 긴축기처럼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시장의 예상을 상회할 경우 신흥국에서의 투자자금 유출이 확대될 수 있다. 미 연준 통화정책 긴축기 초기에는 신흥국 투자자금이 순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 기간 중 대외부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다만 한은은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을 전망하거나 그 요인 분석 시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