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1.4℃
  • 흐림강릉 22.4℃
  • 서울 22.8℃
  • 대전 22.4℃
  • 대구 22.8℃
  • 울산 22.8℃
  • 광주 24.2℃
  • 부산 23.2℃
  • 흐림고창 24.3℃
  • 제주 28.5℃
  • 흐림강화 22.5℃
  • 흐림보은 22.1℃
  • 흐림금산 24.0℃
  • 흐림강진군 25.0℃
  • 흐림경주시 24.2℃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대기업 오너 일가 주식 담보 대출 금액 1년 새 11.5% 감소

홍라희 등 삼성가 세 모녀의 주식 담보 대출 금액도 작년 대비 28.1% 감소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롯데·SK 등 국내 대기업집단 오너 일가의 주식 담보 대출 금액이 1년 전에 비해 1조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오너 일가는 주로 상속세 납부 재원 마련, 경영권 확보를 위한 지분 매입 등의 목적으로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대출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7일 기준 88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총수가 존재하는 78개 그룹 오너 일가의 주식 담보 현황을 조사한 결과 30개 그룹에서 오너 일가 1명 이상이 주식 담보 대출을 이용하고 있었다.

 

주식 담보 대출 이용 오너 일가 수는 작년 8월 136명에서 현재 103명으로 33명 감소했다. 이 기간 동안 오너 일가의 주식 담보 대출 규모 역시 총 7조6558억원에서 6조7741억원으로 11.5% 줄었다. 또 같은기간 오너 일가의 주식 담보 비중은 평균 37.1%에서 30.6%로 6.5%p(포인트)로 감소했다.

 

주식 담보 대출 금액 1위는 삼성 오너일가인 것으로 파악됐다.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별세 이후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전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 세 모녀는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해 현재 주식 담보 대출을 받은 상태다.

 

올해 이들 세 모녀가 받은 주식 담보 대출 금액은 총 2조9328억원, 주식 담보 비중은 30.7%으로 각각 집계됐다. 주식 담보 대출 금액은 작년 4조781억원보다 28.1% 줄었고 주식 담보 비중은 40.4%에서 9.8%p 감소했다.

 

삼성가(家) 세 모녀에 이어 주식 담보 대출 금액 2위는 롯데그룹 오너 일가가 차지했다. 롯데그룹 오너일가의 주식 담보 대출 규모는 작년 2229억원에서 올해 6933억원으로 1년이 채 안돼 3배 이상 증가했다.

 

이 중 신동빈 회장은 앞서 지난해 롯데지주 지분 74.7%를 담보로 2229억원을 대출한데다 올해 롯데쇼핑 지분 49.7%를 담보로 2269억원을 추가로 대출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고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의 장녀인 신영자 롯데재단 의장은 지난해 주식 담보 대출이 전혀 없었으나 올해에는 롯데지주·롯데쇼핑·롯데칠성음료 등 계열사 3곳의 지분을 담보로 모두 2395억원의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포함한 SK그룹 오너 일가 11명은 주식을 담보로 총 6225억5900만원을 대출받았다. 이는 지난해 6183억5800만원과 비교해 42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LG그룹 오너 일가의 올해 주식 담보 대출은 작년보다 856억5000만원 증가한 3603억5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구광모 회장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주식 담보 대출을 올해 추가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광모 회장의 주식 담보 대출액은 지난해 1770억원이었으나 올해에는 2995억원으로 늘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