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일)

  • 맑음대전 -3.5℃
기상청 제공

경제 · 산업

대형 조선사 R&D센터 부산에 들어선다…"대학·연구소 많아 장점"

삼성중공업 이어 한화오션 설계인력 배치…"지역 인재 선순환 기대"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해양도시 부산이 친환경 선박과 첨단 조선기자재 기술을 개발하는 대형 조선사의 연구개발(R&D) 거점도시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6일 부산시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 22일 부산시와 '부산엔지니어링센터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화오션 부산엔지니어링센터는 올해 5월 개소해 해양 및 특수선 분야 설계 인력 150명이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7년까지 추가로 350명의 설계인력을 채용해 부산엔지니어링센터에서 근무시킬 계획이다.

 

앞서 2023년 6월 부산시가 삼성중공업 부산 연구개발센터를 유치했다.

 

삼성중공업은 48억원을 투자해 1천700㎡ 규모의 부산R&D센터를 설립했다.

 

이곳에는 현재 직원 120명이 근무하면서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정제한 뒤 액화천연가스(LNG)로 만들어 저장·하역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설계를 담당하고 있다.

 

한화파워시스템도 2026년까지 부산에 36억원을 투자해 선박 솔루션 사업센터를 신설하고 선박 설계 및 연구개발 인력을 비롯한 200여명을 신규 고용할 예정이다.

 

선박용 크레인 기업인 오리엔탈정공은 'R&D캠퍼스'를 부산에 건립하기로 했다.

 

오리엔탈정공은 선박용 크레인과 상부 구조물을 제작하는 조선기자재업체로, 코스닥에 상장된 국내 선박용 크레인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이다.

 

오리엔탈정공은 에코델타시티 연구 용지 내 3천500평 규모 부지에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최초로 자체 연구개발센터를 건립한다.

 

시와 조선업계 등에 따르면 부산에 조선 회사의 연구개발센터가 잇따라 생기는 것은 대학에 관련 학과와 연구소도 많아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부산은 1시간 거리에 대형 조선사의 사업장이 있고 해운과 항만을 비롯해 조선·해양 관련 산업이 집적되는 등 조선 관련 연구개발센터 거점으로서 충분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위기의 한국경제, 최고의 경제정책은 탄핵정국 조기 종식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한국경제는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비상경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내수경제는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세수펑크 충격⟶고강도 민생 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에 노출돼 구조적 소득감소가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진 상태다. 이처럼 지난 몇 년간 경제 체질이 허약해질 대로 허약해진 상황에서 ‘12.3 내란 사태’가 충격 전이 경로인 환율시장을 때리면서 외환발 금융위기가 발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내 금융시장이 조직적 자본 유출 충격에 노출되면서 원-달러환율은 선험적 환율방어선인 1,400원이 완전히 뚫린 상태다. 국내 증시는 탄핵정국이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왕따 시장으로 전락해 버렸다. 내수경제는 성장 궤도가 기조적으로 낮아지는 저성장 함정에 빠질 위기에 처해있다. 내란사태발 경기충격으로 2024년 성장률이 2%대 초반에서 1%대 후반으로 주저앉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2년 연속 ‘1%대 성장’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 지난 60여 년 동안 한국경제가 1%대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한 사례는 5번에 불과한데, 금융위기가 아니면서도 1%대 저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