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2 (토)

  • 흐림동두천 -0.8℃
  • 구름조금강릉 6.6℃
  • 구름조금서울 -0.1℃
  • 흐림대전 0.8℃
  • 맑음대구 2.0℃
  • 맑음울산 4.8℃
  • 흐림광주 2.7℃
  • 맑음부산 4.8℃
  • 흐림고창 2.3℃
  • 흐림제주 8.9℃
  • 구름조금강화 0.8℃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0.0℃
  • 흐림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4.8℃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청광종합건설, 발상 전환으로 위기 극복...'하자보수 제로' 도전


(조세금융신문=온라인 뉴스팀)옛말에 비 오는 날엔 우산 장사가 웃고, 맑은 날엔 양산 장사가 웃는다고 했다.

 

최근 건설업계도 미분양에 울상 짓는 가운데, 청광종합건설은 발상의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청광종건은 그 동안 소극적으로 임했던 브랜드 광고도 시작했는데, 올림픽대로 북단 공항방면에 청광플러스원 브랜드의 야립 광고를 올렸다. 이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업 이미지를 구축해 가겠다는 경영진의 의지의 표명이다.

 

또한 청광종합건설이 본격적인 여름 장마철을 대비해, 하자보수 제로에 도전한다. CS정책도 타 기업에서 중심을 두고 있지 않은 분야인데, 청광건설은 자체 CS팀을 통해 철저한 하자보수로 소비자 만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 나아가 앞으로도 하자보수 제로를 만들기 위해 완벽시공, 정밀시공을 모토로 튼튼하고 안전한 시공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청광종합건설은 아름답고(), 경제적이며(), 사람들의 행복까지 생각하는 ()을 생각하는 건축물을 추구한다. 건설 업계에서는 청광플러스원이라는 아파트 브랜드와 청광플러스원 큐브라는 오피스텔 브랜드로 안심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왔다.

 

청광종건은 길동에 1~3차에 걸친 청광플러스원 큐브 오피스텔 분양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여기에서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인천서창 2지구의 청광플러스원 아파트를 분양,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공급조절을 통해 성공적으로 아파트 자체 공사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 폐지의 영향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의 폐지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가 지난 3월 폐지되었다. 별장 중과세 규정은 1973년 사치·낭비 풍조를 억제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별장을 더 이상 특정 계층만이 소유하는 고급 사치성 재산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는 국민들의 의식변화를 고려해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점증하게 되자, 중과세 규정을 폐지하는 내용의 지방세법개정안이 2020년 제안되고, 개정안이 올해 국회를 통과하면서 별장 중과세는 5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별장의 취득세는 도입 당시 표준세율의 7.5배 수준을 유지하다가, 폐지 직전에는 취득세 기본세율에 중과세율 8%를 가산해 부과하였다. 별장의 재산세는 도입 당시 일반재산세율의 2배(0.6%)였다가, 2005년 종합부동산세가 도입되면서 별장 재산세 중과세율이 과세표준의 4%로 1%p 인하되어 부과되어 폐지직전까지 계속되었다. 별장의 개념 별장의 개념에 관해 종전 지방세법은 “주거용 건축물로서 상시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휴양·피서·놀이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과 그 부속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