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이유리나 기자) 서울시가 ‘일자리’와 ‘민생’에 방점을 둔 총 2조 313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첫 추경으로, ‘17년 본예산(29조 8천억 원)의 6% 수준이다. 시는 정부가 편성한 일자리 추경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복지, 대기질, 안전 등 시급한 민생사업에 집중 투자해 서울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서민생활 안정을 도모한다는 목표다.
특히 일자리의 경우 38개의 정부와의 매칭 또는 자체 사업에 1,351억을 우선 반영해 가장 역점을 뒀다. 청년부터 여성, 어르신까지 전 세대에 걸쳐 1만3천명 이상 직-간접적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박원순 시장은 지난 6월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간담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일자리 추경 편성 요청에 정부 기조에 맞춰 서울시도 일자리 추경을 적극 편성 하겠다고 호응한 바 있다.
또 저소득‧취약계층 복지강화를 위해 24개 사업에 1,286억 원을, 시민 생명과 직결된 대기질 문제 해결엔 331억을 반영하는 등 시급한 민생문제 해결에 총 2,169억 원을 투자한다.
자치구의 추경재원 지원과 교육청의 안정적 재정지원을 위해 법정 경비 1조 1,208억 원도 조기 전출하기로 했다.
연내 완공이 필요한 사업엔 필요 재원을 적극 투입하는 한편, 사업 규모‧공정 등의 변경에 따른 불용․이월 예상재원 조정을 통해 신규사업 예산을 충당하는 등 재원의 통합적 조정‧활용으로 운용의 효율성을 높인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의 2조 313억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12일(수) 시의회에 제출하고 심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의결‧확정된 사업은 연내에 집중 집행해 일자리창출과 민생경제 살리기 효과를 가시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추경 예산안은 크게 전 세대 맞춤형 일자리 창출, 시급한 민생문제 해결, 재원조정을 통한 재정의 효율적 활용과 통합관리, 자치구‧교육청 등 법정의무경비 조기정산의 네 축으로 구성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