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6℃
기상청 제공

사회

성폭행 의혹 외교관...일파만파 '본인은 정작 모르쇠'

연합뉴스
▲ 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이유리나 기자) 성폭행 의혹 외교관에 대한 검찰 조사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14일 외교부는 이날 성폭행 의혹 외교관에 대한 중징계를 의결하고 정식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외교관은 아프리카 국가의 주재 대사관 간부로 최근 여직원과 만찬 뒤 술에 취하자 집으로 데려가 몹쓸짓을 한 정황이 최근 피해자 신고로 접수됐다.

특히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해당 외교관이 극구 부인하고 나섰지만 외교부는 증거를 확보하고 피해 여성의 증언을 토대로 징계위에 회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성폭행 의혹 외교관은 현지에서 국내로 소환돼 현재 국내에 머무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만간 업무 등에 대해서도 배제될 것으로 보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