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강릉 17.7℃
기상청 제공

사회

남북 군사회담 불발, 北은 결국 답변을 하지 않았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 연합뉴스
▲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 연합뉴스

(조세금융신문=이유리나 기자) 남북 군사회담이 불발됐다.

21일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오전 브리핑을 통해 남북 군사회담 불발이 됐음을 전했다.

이날 문 대변인은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남북군사회담을 7월 21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하기로 제안한 바 있지만 “북측은 현재까지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날 회담이 열리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군사 분야에서 대화채널을 복원한 것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국방부는 북측이 조속히 우리의 제안에 호응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설명했다.

남북 군사회담 불발에 앞서 국방부는 지난 1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오는 21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남북군사당국회담을 열자고 공개 제의했다.

서주석 차관은 이 자리에서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 상호 중단에 대해 포괄적으로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이산가족상봉, 개성공단 재개 등의 협의를 할 것으로 보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