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케이블, 밸브, EPB 등의 자동차부품 전문업체인 인팩[023810]은 26일 오후 2시 48분 현재 전날보다 -4.06% 하락한 9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1.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인팩은 2022년 매출액 5122억원과 영업이익 20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6%, 영업이익은 62.3%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44%, 상위 2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인팩 연간 실적 추이 인팩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1년 28억원보다 -25억원(-89.3%)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7%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인팩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9억원, 28억원, 3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인팩 법인세 납부 추이
중대형 프레스 제조업체인 SIMPAC[009160]은 26일 오후 2시 47분 현재 전날보다 7.3% 오른 61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53.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SIMPAC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9.7% 늘어난 6722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11.8% 늘어난 1190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7%, 상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9.7%(592억 2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SIMPAC 연간 실적 추이 SIMPA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95억원으로 2021년 248억원보다 -53억원(-21.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4%를 기록했다. SIMPA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95억원으로 감소했다. [표]SIMPAC 법인
고객 공감형 컨텐츠 바탕의 홈퍼니싱 전문기업인 오하임아이엔티[309930]는 26일 오후 2시 44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304.3%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6.48% 오른 4355원에 거래되고 있다. 오하임아이엔티의 2022년 매출액은 324억으로 전년대비 0.2%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16억으로 전년대비 -56.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9%, 하위 24%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0.2%(8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오하임아이엔티 연간 실적 추이 오하임아이엔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1년 5억원보다 -2억원(-4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7%를 기록했다. 오하임아이엔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9억원, 5억원, 3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오하임아이엔티 법인세 납부 추이
선박용 레벨 및 제어장치 전문업체인 한라IMS[092460]은 26일 오후 2시 28분 현재 전날보다 -11.48% 하락한 663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한라IMS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한라IMS은 2022년 매출액 986억원과 영업이익 8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4.5%, 영업이익은 5,780.0%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8%, 상위 1%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한라IMS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한라IMS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억원으로 2021년 3억원보다 8억원(266.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0%를 기록했다. 한라IMS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3억원, 11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한라IMS 법인세
초정밀 커넥터 제조기업인 우주일렉트로[065680]는 26일 오후 1시 41분 현재 전날보다 6.96% 오른 1만 32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08.7%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우주일렉트로는 2022년 매출액 1872억원과 영업이익 1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9.0%, 영업이익은 -26.9%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8%, 하위 34%에 해당된다. [그래프]우주일렉트로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우주일렉트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4억원으로 2021년 67억원보다 -13억원(-19.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7%를 기록했다. 우주일렉트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54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우주일렉트로 법인세 납부 추이
반도체 중고장비 도매업체인 서플러스글로벌[140070]은 26일 오후 1시 36분 현재 전날보다 10.19% 오른 43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서플러스글로벌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서플러스글로벌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7% 늘어난 2349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8% 늘어난 319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8%, 하위 5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서플러스글로벌 연간 실적 추이 서플러스글로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8억원으로 2021년 81억원보다 -3억원(-3.7%)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3.2%를 기록했다. 서플러스글로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78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서플러스글로벌 법인세 납부 추이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인 아이에이[038880]는 26일 오후 1시 33분 현재 전날보다 12.19% 오른 672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아이에이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아이에이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8.6% 줄어든 742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서 -2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9%, 하위 12%에 해당된다. [그래프]아이에이 연간 실적 추이 아이에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억원으로 2021년 6억원보다 9억원(15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75.0%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아이에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5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아이에이 법인세 납부 추이
반도체 웨이퍼 이송장비 제조 및 판매 업체인 싸이맥스[160980]는 26일 오후 1시 26분 현재 전날보다 5.12% 오른 1만 3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552.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싸이맥스는 2022년 매출액 1951억원과 영업이익 21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9.5%, 영업이익은 -34.7%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1%, 하위 31%에 해당된다. [그래프]싸이맥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싸이맥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8억원으로 2021년 70억원보다 -52억원(-74.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8.8%를 기록했다. 싸이맥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싸이맥스 법인세 납부 추이
전자부품, BLU, LED, 태양광 모듈 전문업체인 한솔테크닉스[004710]는 26일 오후 1시 12분 현재 전날보다 9.65% 오른 78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7.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한솔테크닉스의 2022년 매출액은 1조 6474억으로 전년대비 10.5%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551억으로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9%, 상위 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한솔테크닉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한솔테크닉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7억원으로 2021년 28억원보다 9억원(32.1%)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2%를 기록했다. 한솔테크닉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8억원, 28억원, 3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
선풍기 등 소형가전 전문 제조업체인 신일전자[002700]는 26일 오후 12시 13분 현재 전날보다 -3.47% 하락한 1974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신일전자의 2022년 매출액은 2027억으로 전년대비 4.8%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28억으로 전년대비 -70.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4%, 하위 1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신일전자 연간 실적 추이 신일전자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1년 11억원보다 -4억원(-36.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1.2%를 기록했다. 신일전자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9억원, 11억원, 7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신일전자 법인세 납부 추이
소방장비 구매분야의 안전장비 제조 및 판매 기업인 한컴라이프케어[372910]는 26일 오후 12시 13분 현재 전날보다 9.84% 오른 55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63.6%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한컴라이프케어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7.4% 줄어든 1001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서 -1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 하위 8%에 해당된다. [그래프]한컴라이프케어 연간 실적 추이 한컴라이프케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0억원으로 2021년 8억원보다 32억원(4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3%를 기록했다. 한컴라이프케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0억원으로 증가했다. [표]한컴라이프케어 법인세 납부 추이
내화물 전문 생산업체인 한국내화[010040]는 26일 오전 11시 14분 현재 전날보다 5.14% 오른 41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0.8%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한국내화는 2022년 매출액 3588억원과 영업이익 10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2.0%, 영업이익은 22.5%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9%, 상위 40%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32.0%(870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한국내화 연간 실적 추이 한국내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1년 17억원보다 -15억원(-88.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0%를 기록했다. 한국내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한국내화 법인세 납부 추이
아연화 제품 제조기업인 한일화학[007770]은 26일 오전 11시 8분 현재 전날보다 9.83% 오른 2만 5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13.9%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한일화학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7.2% 늘어난 1563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878.0% 늘어난 49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9%,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8년 보다도 2.3%(34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한일화학 연간 실적 추이 한일화학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1년 76억원보다 -72억원(-94.7%)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9.1%를 기록했다. 한일화학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4억원으로 감소했다. [표]한일화학 법인세 납부 추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메모리 테스트 장비 전문업체인 네오셈[253590]은 26일 오전 10시 10분 현재 전날보다 6.33% 오른 327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네오셈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네오셈은 2022년 매출액 747억원과 영업이익 8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00.8%, 영업이익은 72.4%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5%, 상위 22%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0년 보다도 53.5%(260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네오셈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네오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억원으로 2021년 7억원보다 6억원(85.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5%를 기록했다. 네오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국내 유일의 진주광택안료 전문기업인 씨큐브[101240]는 26일 오전 10시 6분 현재 전날보다 11.4% 오른 88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10.8%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씨큐브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7% 늘어난 463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59.2% 늘어난 6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3%, 상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3.4%(15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씨큐브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씨큐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0억원으로 2021년 8억원보다 2억원(25.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6%를 기록했다. 씨큐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억원, 8억원, 10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가성소다 및 합성염산의 제조·판매업체인 백광산업[001340]은 26일 오전 10시 1분 현재 전날보다 7.09% 오른 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백광산업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1.8% 늘어난 2327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55.5% 늘어난 279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2%, 상위 26%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백광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백광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7억원으로 2021년 4억원보다 23억원(575.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1%를 기록했다. 백광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억원, 4억원, 2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백광산업 법인세
동결건조기, 초저온냉장고 등 바이오장비 제조업체인 일신바이오[068330]는 26일 오전 9시 58분 현재 전날보다 6.84% 오른 22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2.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일신바이오는 2022년 매출액 204억원과 영업이익 5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2%, 영업이익은 -30.0%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4%, 하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일신바이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일신바이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억원으로 2021년 20억원보다 -11억원(-55.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1%를 기록했다. 일신바이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일신바이오 법인세 납부 추이
알루미늄 전해콘덴서 제조기업인 삼화전기[009470]는 26일 오전 9시 49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24.3%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2.03% 오른 2만 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화전기의 2022년 매출액은 2391억으로 전년대비 -3.2%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36억으로 전년대비 -37.4%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13%, 하위 24%에 해당된다. [그래프]삼화전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삼화전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6억원으로 2021년 39억원보다 -13억원(-33.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4%를 기록했다. 삼화전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1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6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삼화전기 법인세 납부 추이
크라운제과, 해태제과식품을 자회사로 보유한 지주회사인 크라운해태홀딩스[005740]는 26일 오전 9시 22분 현재 전날보다 5.72% 오른 68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17.5%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크라운해태홀딩스의 202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5.5% 늘어난 9791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2% 줄어든 38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6%, 하위 43%에 해당된다. [그래프]크라운해태홀딩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크라운해태홀딩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1억원으로 2021년 97억원보다 64억원(66.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0.5%를 기록했다. 크라운해태홀딩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91억원, 97억원, 161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크라운해태홀딩스 법인세 납부 추이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제조 및 판매업체인 에스와이[109610]는 26일 오전 9시 21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29.5%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27.39% 오른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에스와이의 2022년 매출액은 5372억으로 전년대비 26.7%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140억으로 전년대비 -0.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8%, 하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26.7%(1131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에스와이 연간 실적 추이 에스와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3억원으로 2021년 12억원보다 31억원(258.3%)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4.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3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에스와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5억원, 12억원, 43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에스와이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