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 기업인 에이치피오[357230]는 31일 오후 3시 6분 현재 전날보다 -5.13% 하락한 240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에이치피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에이치피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8.4% 늘어난 2320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26.2% 늘어난 221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2%, 상위 2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에이치피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에이치피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1억원으로 2022년 36억원보다 5억원(13.9%)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7%를 기록했다. 에이치피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1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에이치
종합신용평가업체에서 신용평가업 분리한 기업인 SCI평가정보[036120]는 31일 오후 1시 14분 현재 전날보다 8.25% 오른 22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1,786.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SCI평가정보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6.0% 줄어든 344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91.3% 줄어든 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5%, 하위 2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그 하락폭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SCI평가정보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SCI평가정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10억원보다 -6억원(-6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50.0%를 기록했다. SCI평가정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3억원, 10억원, 4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SCI평가정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인 콜마비앤에이치[200130]는 31일 오후 12시 20분 현재 전날보다 7.61% 오른 1만 3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콜마비앤에이치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콜마비앤에이치의 2023년 매출액은 5796억으로 전년대비 0.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03억으로 전년대비 -50.5%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9%, 하위 35%에 해당된다. [그래프]콜마비앤에이치 연간 실적 추이 콜마비앤에이치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3억원으로 2022년 155억원보다 -82억원(-52.9%)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1%를 기록했다. 콜마비앤에이치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35억원, 155억원, 73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콜마비앤에이치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오늘 장지혜 DS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콜마비앤에이치에 대해 "25년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6,369억원(+3% YoY), 영업이익 314억원(+28
한국콜마그룹 지주사인 콜마홀딩스[024720]는 31일 오전 11시 33분 현재 전날보다 14.24% 오른 1만 27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콜마홀딩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콜마홀딩스의 2023년 매출액은 6373억으로 전년대비 -1.9%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69억으로 전년대비 -48.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5%, 하위 2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그 하락폭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콜마홀딩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콜마홀딩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0억원으로 2022년 234억원보다 -214억원(-91.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7%를 기록했다. 콜마홀딩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88억원, 234억원, 20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콜마홀딩스 법인세 납부 추이
방송용 기기제조 및 디지털 셋톱박스 제조업체인 알로이스[297570]는 31일 오전 11시 3분 현재 전날보다 28.03% 오른 813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알로이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알로이스는 2023년 매출액 266억원과 영업이익 4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1.2%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8%, 상위 42%에 해당된다. [그래프]알로이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알로이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5억원(-38.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0%를 기록했다. 알로이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알로이스 법인세 납부 추이
검색광고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광고 대행업체인 이엠넷[123570]은 31일 오전 10시 24분 현재 전날보다 5.52% 오른 2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32.2%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이엠넷의 2023년 매출액은 350억으로 전년대비 -20.8%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37억으로 전년대비 -60.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0%, 하위 30%에 해당된다. [그래프]이엠넷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이엠넷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억원으로 2022년 24억원보다 -13억원(-54.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6%를 기록했다. 이엠넷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8억원, 24억원, 11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이엠넷 법인세 납부 추이
온라인광고대행업체인 플레이디[237820]는 31일 오전 10시 18분 현재 전날보다 7.09% 오른 57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플레이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플레이디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2% 줄어든 373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4.8% 줄어든 2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6%, 하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플레이디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플레이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억원으로 2022년 12억원보다 -6억원(-5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1%를 기록했다. 플레이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6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플레이디 법인세 납부 추이
주축 이동형 CNC 자동선반 제조업체인 넥스턴바이오[089140]는 31일 오전 9시 53분 현재 전날보다 10.0% 오른 258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43.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넥스턴바이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42.3% 늘어난 413억원이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해서 1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0%, 상위 10%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42.3%(122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넥스턴바이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넥스턴바이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6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74억원(3,7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5.0%를 기록했다. 넥스턴바이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
윤활유 제조 및 LPG 충전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인 극동유화[014530]는 31일 오전 9시 34분 현재 전날보다 3.02% 오른 341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극동유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극동유화의 2023년 매출액은 1조 1580억으로 전년대비 -6.8%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278억으로 전년대비 -9.0%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2%, 하위 45%에 해당된다. [그래프]극동유화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극동유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4억원으로 2022년 59억원보다 -15억원(-25.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6%를 기록했다. 극동유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44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극동유화 법인세 납부 추이
휴대폰용 강화유리(Cover Glass) 가공, 제조하는 기업인 육일씨엔에쓰[191410]는 31일 오전 9시 31분 현재 전날보다 12.33% 오른 183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65.0%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육일씨엔에쓰는 2023년 매출액 290억원과 영업이익 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8%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2%, 상위 9%에 해당된다. [그래프]육일씨엔에쓰 연간 실적 추이 육일씨엔에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7억원(70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4.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육일씨엔에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1억원, 8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육일씨엔에쓰 법인세 납부 추이
모바일 광고의 기획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업체인 와이즈버즈[273060]는 31일 오전 9시 27분 현재 전날보다 13.18% 오른 859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와이즈버즈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와이즈버즈는 2023년 매출액 138억원과 영업이익 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2.4%, 영업이익은 -86.4%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 하위 1%에 해당된다. [그래프]와이즈버즈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와이즈버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3억원보다 -1억원(-33.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7%를 기록했다. 와이즈버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억원, 3억원, 2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와이즈버즈 법인세 납부 추이
대구/경북 지역 중심의 석유류 유통 전문업체인 흥구석유[024060]는 31일 오전 9시 1분 현재 전날보다 13.75% 오른 1만 27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흥구석유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흥구석유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6% 줄어든 1267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93.4% 줄어든 1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9%, 하위 22%에 해당된다. [그래프]흥구석유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흥구석유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8억원보다 -5억원(-62.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4%를 기록했다. 흥구석유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3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흥구석유 법인세 납부 추이
무선복합시스템 개발 업체인 에치에프알[230240]은 28일 오후 3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5.1% 하락한 2만 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전일 대비 316.2% 급증한 상태다. 에치에프알의 2023년 매출액은 1642억으로 전년대비 -55.2%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84억으로 적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 하위 19%에 해당된다. [그래프]에치에프알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에치에프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2억원으로 2022년 175억원보다 -163억원(-93.1%)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8.7%를 기록했다. 에치에프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에치에프알 법인세 납부 추이
PCB 전문 제조기업인 대덕[008060]은 28일 오후 2시 27분 현재 전날보다 -4.33% 하락한 6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대덕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대덕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3.0% 줄어든 1조 2793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84.1% 줄어든 31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8%, 하위 14%에 해당된다. [그래프]대덕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대덕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0억원으로 2022년 544억원보다 -394억원(-72.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9.4%를 기록했다. 대덕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50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대덕 법인세 납부 추이
디스펜서 등 반도체 생산장비 제조 전문업체인 프로텍[053610]은 28일 오후 2시 6분 현재 전날보다 -6.21% 하락한 2만 1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4.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프로텍은 2023년 매출액 1561억원과 영업이익 17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1.5%, 영업이익은 -71.0%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9%, 하위 27%에 해당된다. [그래프]프로텍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프로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9억원으로 2022년 137억원보다 -88억원(-64.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3%를 기록했다. 프로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4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프로텍 법인세 납부 추이
강관 제조 기업인 하이스틸[071090]은 28일 오후 1시 50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10.4%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6.69% 오른 3905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이스틸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8.9% 줄어든 2567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79.9% 줄어든 3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12%, 하위 15%에 해당된다. [그래프]하이스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하이스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28억원보다 -20억원(-71.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8.1%를 기록했다. 하이스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하이스틸 법인세 납부 추이
유압실린더 등 유공압기기 및 유공압기계 제조/판매업체인 디와이파워[210540]는 28일 오후 1시 2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0.2%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3.96% 오른 1만 1945원에 거래되고 있다. 디와이파워의 2023년 매출액은 4300억으로 전년대비 2.6%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363억으로 전년대비 34.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45%, 상위 32%에 해당된다. [그래프]디와이파워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디와이파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1억원으로 2022년 65억원보다 26억원(4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9%를 기록했다. 디와이파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91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디와이파워 법인세 납부 추이
친환경 반도체 공정 장비 제조업체인 지앤비에스 에코[382800]는 28일 오전 11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5.02% 하락한 340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지앤비에스 에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지앤비에스 에코는 2023년 매출액 893억원과 영업이익 1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6.2%, 영업이익은 24.3%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2%, 상위 3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지앤비에스 에코 연간 실적 추이 지앤비에스 에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4억원으로 2022년 3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2%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지앤비에스 에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6억원, 34억원, 3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지앤비에스 에코 법인세 납부 추이
수액제로 유명한 업계 상위 제약회사인 JW중외제약[001060]은 28일 오전 11시 35분 현재 전날보다 -7.14% 하락한 2만 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9.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JW중외제약은 2023년 매출액 7485억원과 영업이익 100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9.4%, 영업이익은 59.3%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27%, 상위 2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JW중외제약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JW중외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4억원으로 2022년 155억원보다 9억원(5.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9.9%를 기록했다. JW중외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
제조 및 도소매 등 의류사업 영위업체인 형지I&C[011080]은 28일 오전 11시 24분 현재 전날보다 17.36% 오른 1467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형지I&C은 2023년 매출액 653억원과 영업이익 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3%, 영업이익은 -72.8%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하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형지I&C 연간 실적 추이 형지I&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7억원(7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8%를 기록했다. 형지I&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1억원, 8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형지I&C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