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올해 미국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코어위브(CoreWeave)의 주식을 대거 매입할 계획이라고 외신이 보도했다. 27일(현지시간) 연합뉴스는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 보도를 인용, 엔비디아가 뉴욕 증시 상장을 앞둔 코어위브의 주식을 주당 40달러에 2억5천만 달러(3천661억원)어치 매입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어위브는 AI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AI 칩을 이용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이를 임대하는 사업을 하는 AI 스타트업이다.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현재 6%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IPO에서 주식을 매입하면 지분은 더 늘어나게 된다. 코어위브는 2024년 말 기준으로 32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 중이며, 2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보유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를 주요 고객으로, 최근에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00억 달러가 넘는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는 등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19억2천만 달러로, 전년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금융감독원은 27일 공시를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출한 3조6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정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날 기자단에 보낸 공지를 통해 "중점심사 절차에 따라 대면 협의 등을 통해 면밀히 심사한 결과 유상증자 당위성, 주주소통 절차, 자금사용 목적 등에서 투자자의 합리적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기재가 미흡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사의 증권신고서 심사 절차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정정요구 내용은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향후 회사가 정정신고서 제출 시 정정요구 사항이 충실히 반영되었는지 면밀히 심사할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국내 자본시장 역사상 최대 규모인 3조6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주주가치 희석 우려로 급락하는 등 시장에 파장을 낳았다. 금감원은 삼성SDI[006400]에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도 중점심사 대상으로 심사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경제 전체에 활력이 떨어져 있는 가운데,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이 투자 결정을 한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며 "엄청나게 긍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야놀자가 모두투어 주식 5.26%를 확보하며 2대 주주에 등극했다. 26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6월 말 기준 모두투어 주식 4.5%를 갖고 있던 야놀자는 최근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율을 5.26%까지 늘렸다. 일각에서는 모두투어의 1대 주주인 우종웅 회장의 지분율이 10.92%에 불과한 점을 들어 야놀자가 모두투어의 경영권 인수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보고 있다. 우 회장의 장남인 우준열씨가 최근 사장으로 승진한 것도 경영권 방어 목적이라는 해석이다. 다만 야놀자는 이번 추가 지분 인수가 단순 투자 목적이라고 해명했다. 야놀자 관계자는 "모두투어는 주요 사업 파트너"라며 "단순 투자 목적일 뿐"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코스닥 상장사 신라젠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신라젠은 26일 공시를 통해 운영자금 등 약 18억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당 2천360원에 신주 76만2천711주(보통주)가 발행된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조환우(76만2천711주)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코스닥 상장사 디엔에이링크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디엔에이링크는 26일 공시를 통해 시설자금 등 약 50억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당 6천170원에 신주 81만373주(보통주)가 발행된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박진수(등기임원, 이사회의장법인최대주주의 대표이사, 81만373주)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6일 공시를 통해 송도바이오 캠퍼스 1공장 건설비 조달을 위해 보통주 323만1천주를 유상증자한다고 밝혔다. 주주 배정 증자 방식이며 발행가는 주당 6만5천원이다. 롯데지주는 이 가운데 80%인 258만4천800주에 출자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유상증자 금액 2천100억여원 가운데 롯데지주가 1천680억여원을 부담한다. 롯데지주는 "롯데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지배력 유지 및 사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출자한다"고 밝혔다. 롯데지주는 출자금을 다음 달 7일과 5월 12일 두 차례로 나눠서 납입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지분은 롯데지주가 80%, 일본 롯데홀딩스가 20%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코스피 상장사 에코프로머티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에코프로머티는 26일 공시를 통해 운영자금 등 1천490억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주당 7만5천974원에 신주 512만167주(기타주)가 발행된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아이엠엠이브이2호 유한회사(144만7천863주), 마스트아이비케이씨메자닌사모투자 합자회사(126만3천590주) 등이다. 회사 측은 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에 관해 "PT. Green Eco Nickel 지분인수 및 운영지원을 위한 대여금 조달과 운영자금"이라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서울고등법원으로부터 무죄 선고 받음에 따라 이날 이재명 대표 관련 테마주가 급등했다. 먼저 이재명 대표 테마주 중 하나인 동신건설은 코스닥에서 전날 대비 30%(1만1700원↑) 오른 5만7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어 오리엔트정공은 전거래일 보다 29.99% 오른 9190원, 에이텍은 29.90% 상승한 3만4100원, 수산아이앤티는 29.58% 오른 1만6910원에 각각 코스닥에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에 상장한 이재명 대표 테마주들도 일제히 가격이 뛰었다. 이스타코(29.98%↑, 1565원), 오리엔트바이오(29.95%↑, 1575원), 일성건설(29.96%↑, 3610원), 형지엘리트(29.76%↑, 2215원) 등 이재명 대표 관련 종목이 이날 일제히 상한가를 찍은 후 장을 마감했다. 한편 같은날 서울고법 형사6-2부(최은정·이예슬·정재오 부장판사)는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 판결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 특히 재판부는 쟁점사항이었던 이재명 대표의 국토부 협박에 따른 백현동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지난달 기업공개(IPO)가 급감하면서 주식 발행이 전달보다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월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주식 발행 금액은 4천432억원으로 전월보다 40.1% 줄어들었다. 대규모 IPO가 자취를 감춘 가운데 기업공개 규모(2천54억원)가 전달보다 5천235억원(71.8%) 감소한 영향이다. 유상증자 규모는 2천378억원으로 전달 대비 2,174.2% 폭증했다. 코스닥 상장사 5건, 비상장사 1건으로, 중소기업이 운영자금과 시설자금 조달을 위해 유상증자를 실시한 결과다. 회사채 발행 규모는 27조5천635억원으로 전달보다 18.3% 늘었다. 일반 회사채 발행이 10조7천700억원으로 28.2%, 금융채는 15조8천679억원으로 14.8% 각각 늘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은 9천256억원으로 13.0% 감소했다. 기업어음(CP) 발행 금액은 35조6천633억원으로 18.9% 감소했고, 단기사채 발행 금액은 82조4천773억원으로 0.9% 감소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코스피 상장사 DL의 자회사가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의 주식 약 1천억원어치를 추가 취득했다. DL은 자회사인 25일 공시를 통해 DL케미칼이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 여천NCC의 주식 277만9천321주를 약 1천억원에 추가 취득한다고 밝혔다. 주식 취득 뒤 DL케미칼의 여천NCC 지분율은 50%가 된다. 주식 취득 예정일은 28일이다. DL 관계자는 이번 주식 취득의 목적을 "여천NCC의 재무구조 개선"이라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