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강릉 11.3℃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부산 해동용궁사가 중국 사찰?…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서 조작 이미지 사용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윈도우 화면보호기 화면에서 해동용궁사를 중국 푸젠성 사찰로 오기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오기 사실을 숨기기 위해 이미지를 조작한 흔적도 발견됐다. 

 

마이크로소프트 사는 윈도우 10‧11에 로그온‧화면 보호기 화면으로 세계 각지 명소 사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마이크로소프트 사는 해당 화면보호기 화면에서 부산 해동용궁사 사진을 중국 푸젠성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포토그래퍼 웨이콴 린(Weiquan Lin), 이미지를 사용한 사이트는 게티이미지라고 표기돼 있었다.

 

웹 상에서 확인한 결과, 웨이콴 린은 중국 장쑤성 남경시 계명사(지밍쓰)를 촬영한 적은 있지만, 부산 해동용궁사를 촬영한 흔적은 나오지 않았다.

 

게티이미지에서는 명확히 해동용궁사 위치를 남한 부산의 사찰로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으며, 해당 이미지의 원본 사진으로 추정되는 콘텐츠 ID 901194284에서도 남한의 사찰로 표기돼 있다(https://www.gettyimagesbank.com/view/haedong-yonggungsa-temple-in-busan-south-korea/901194284).

 

마이크로소프트 측에 귀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심각한 점은 한국 사찰임을 숨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미지에 손을 댄 흔적이 있다는 점이다.

 

자유의 여신상을 러시아 모스크바라고 오기했다면? [이미지=윈도우 화면 보호기]
▲ 자유의 여신상을 러시아 모스크바라고 오기했다면? [이미지=윈도우 화면 보호기]

 

보통 이미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는 신체 사진이나 사고 사진이 아니고서는 특정 부분을 못 알아보도록 사진 특정 부분에 이미지 흐리기를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하지만 위 사진의 경우에는 정확히 행사 현수막의 한글 부분만 흐리기 효과를 사용했다. 단순히 이름을 잘못 쓴 것만이 아니라 한국 사찰임을 모르도록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손 댄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나온다.

 

윈도우 이용자 수는 전세계 10억명 이상.

 

단순 실수라고도 할 수 있지만, 전 세계 십수억 이용자들에게 조작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안은 가볍지 않다.

 

본지는 왜 한국 사찰을 중국 사찰로 오기했는지 수정할 의향은 있는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사에 문의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 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