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하수관의 노후화 문제를 지적한 진선미 의원 [사진=진선미 의원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416/art_17447050437913_62d759.jpg)
(조세금융신문=손영남 기자) 도심의 청결을 책임질 서울 하수관의 노후화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청결 못지않게 안전사고 우려도 높아 조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경과년수별 하수관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서울 하수관 1만 866km 중 6,028km(55.5%)가 설치된 지 30년이 넘은 노후 하수관으로 밝혀졌다. 50년 이상인 초고령 노후 하수관도 3,300km로 전체의 30.4%에 달할 정도로 노후화가 심각하다.
지역별로 분류해보면 종로구가 53.5%의 비율을 기록해 50년 이상 초고령 노후 하수관 최다 보유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그 다음으로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순이다.
30년 이상으로 범위를 넓혀도 마찬가지였다. 종로구는 이에 해당하는 노후 하수관 비율이 66.3%로 심각한 양상에 처해있다. 그 다음으로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이다.
노후화 못지않게 심각한 것은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크게 늘었다는 사실이다. 최근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잦은 싱크홀 사고의 배경에 노후화된 하수관이 자리하고 있다는 뜻인데 이는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싱크홀 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싱크홀 사고 867건 중 394건(45.5%)이 하수관 손상으로 비롯됐다는 것. 싱크홀 사고 발생 원인 중 하수관 손상의 비율이 가장 높은 만큼, GPR탐사 등 예방 조치뿐 아니라 하수관로 교체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진선미 의원은 “매일 시민들이 출퇴근하는 도로의 안전을 운에만 맡길 수는 없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안전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하수관로 정비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