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2.0℃
기상청 제공

사회

청년들의 사회진출 앞당길 군복무 단축, 수면 위로


(조세금융신문=이유리나 기자) 군복무가 단축될 지 관심이 모아진다.

당초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내용이 곧 추진될 것이 아니냐는 관심이 19일부터 시작됐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동안 현행 21개월의 군복무 기간을 18개월까지 단축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더욱이 당시 정책 쇼핑몰 ‘문재인 1번가’ 2030 청춘 응원 패키지 역시 단축을 공약으로 내세우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 동안 군복무 단축으로 청년들의 사회 진출 시기를 앞당겨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부족한 병력은 부사관 충원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