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3.4℃
  • 맑음대전 23.0℃
  • 맑음대구 23.2℃
  • 맑음울산 19.2℃
  • 구름조금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1.4℃
  • 구름조금고창 20.2℃
  • 흐림제주 21.9℃
  • 맑음강화 21.4℃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7℃
  • 구름많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9.7℃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중화동향]한미 양국 중국 내 북한 김정은 비밀계좌 확인

(조세금융신문)한•미 양국은 북한이 중국 상하이 등지의 여러 은행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비자금으로 추정되는 가•차명 계좌 수십 개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 계좌들에 예치된 돈은 수억달러 이상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계좌들은 지난 7일 발표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094호에 따른 금융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져 강력한 대북 제재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 비밀 계좌가 수십개 각 계좌엔 수억달라씩 예치 실체 드러나 

정부 소식통은 10일 "한•미 양국은 수년간 추적 작업으로 지난해 말까지 중국 상하이 등지의 은행들에 김정은의 통치 자금으로 추정되는 수억달러 규모의 수십 계좌를 찾아냈다"며 "계좌명과 계좌 번호까지 파악돼 있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에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기 시기상조라는 중국

한•미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 등에 따른 대북 제재에 이 계좌들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중국 측에 전했으나, 중국 측은 소극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소식통은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대북 제재에 다소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지만 북한 정권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리는 데는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제2의 BDA보다 더 큰 제재도 가능하지만 과거를 상기하며 조심하는 중국

정부는 중국 상하이 등지의 북한 비밀 계좌 규모가 마카오 은행 '방코델타아시아(BDA)'에 있었던 김정일 통치 자금 2500만달러보다 훨씬 큰 만큼 금융 제재 대상에 이 계좌들을 포함할 경우 BDA보다 훨씬 큰 제재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005년 9•19 공동성명 채택 직후 미국은 BDA의 김정일 비밀 계좌 50여개에 들어 있던 2500만달러를 동결했고, 북한은 이에 강력 반발해 6자회담을 보이콧한 뒤 이듬해인 2006년 장거리 미사일(대포동 2호) 발사 및 1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지난 7일 발표한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는 회원국에 북한이 핵이나 미사일 개발에 쓸 가능성이 있는 현금 등 금융자산의 이동이나 금융 서비스 제공 금지를 의무화하고, 북한 은행의 유엔 회원국 내 신규 활동 및 회원국 금융기관의 북한 내 신규 활동 금지도 요구했다.
 

 [출처:GBD공공외교문화교류중심]

▼아래는 중국어 기사입니다.

韩媒:金正恩上海秘密银行账户有数十亿美元

据悉,韩美当局已经确认北韩在中国上海等地拥有怀疑为北韩劳动党第一秘书金正恩的假名、借名账户数十个,其存款规模达到数十亿美元。
 然而,这些账户不包含在本月7日联合国安理会发布的对北制裁决议2094号的金融制裁对象,故安理会严厉制裁北韩的实际效果遭到质疑。
 韩国政府一位消息人士10日表示:“韩美两国经过数十年追查,于去年年底在中国上海等地找出了怀疑为金正恩统治资金的数十个银行账户,规模达数十亿美元。目前已经掌握账户名和账号,其中一部分为在北韩国防委员长金正日时期所设立。”
 据悉,韩美当局向中国方面表明该账户应该包括在制裁目录当中,但中国却采取消极的反应。这位消息人士还说:“北韩实施第三次核试验后,中方对制裁北韩稍微采取积极态度,但在触碰‘致命点’方面仍为消极。”
 韩国政府认为,设在中国上海等地的北韩秘密资金规模远远大于澳门汇业银行(BDA)的2500万美元,因此如果将这些账户包含在金融制裁对象时,其获得的制裁效果远比汇业银行大很多。
 2005年通过《9.19联合声明》后,美国冻结了存于汇业银行的50多个金正日秘密账户的共2500万美元。北韩便提出强烈抗议,抵制参加六方会谈,并于2006年强行发射远程导弹(大浦洞2号)及实施第一次核试验。
 联合国安理会针对北韩第三次核试验7日发布新的制裁决议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양극화’ 못막은 칸막이 행정으로 ‘저출생’ 난제를 풀겠다고?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정부가 저출생을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하고 가칭 ‘저출생대응기획부’를 부총리급 부처로 새로 만든다는 구상을 밝혔다는 소식을 듣고 생각이 많아진다. 교육·노동·복지는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행정부처와 무관치 않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처간 칸막이’부터 부숴야 한다. 부처끼리 서로 협력해도 모자를 판에 부처 신설로 풀겠다니. 공동체의 난제를 풀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 걸 솔직히 인정한 셈이다. 그래서 더 착잡한 것이다. 한편으로 첫단추가 잘못 끼워진 나라 행정의 실타래를 풀 엄두가 나지 않으니 오죽했으면 저런 방향을 잡았을까 하는 안타까움도 없지 않다. 하지만 수십조원을 투입하고도 저출생 가속화를 막지못한 지난 정부들 아닌가. 부처신설 발상을 접하고 정책실패의 ‘기시감’부터 드는 것은 비단 기자만이 아닐 것이다. 부처 신설보다 “다른 정부 부처와 협력을 잘 한 공무원들이 더 높은 인사고과를 받도록 하면 된다”는 ‘뿌리규칙(Ground rules)’을 공고히 해야 한다. 물론 조선시대이래 이어져온 ‘이호예병형공’의 카르텔을 깨는 게 쉽겠는가. 하지만 그걸 깬 효과가 나와야 실제 출생률이 바닥을 찍고 반등할 수 있다. 그게 핵심이다.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