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맑음강릉 10.9℃
기상청 제공

셀트리온, 올 2분기 영업이익 725억원 집계…전년비 60.4%↓

지난해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에 따른 무형자산 상각 등으로 영업이익 감소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셀트리온제약과의 합병을 추진 중인 셀트리온의 올해 2분기 매출이 1년 전에 비해 66% 가량 급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같은시기 약 6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셀트리온이 공시한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회사는 올 2분기 매출 8747억원, 영업이익 725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매출의 경우 1년 전보다 66.9%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60.4% 감소한 수치다.

 

올 2분기 사업별 매출현황을 살펴보면 바이오 매출은 77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6% 폭증하며 전체 매출 성장세를 끌어올렸다. 바이오 매출 가운데 램시마Ⅳ 등 기존 제품 매출은 5410억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170.5% 증가했다. 램시마SC 등 후속 제품 매출은 2330억원으로 작년 2분기에 비해 29.4% 늘었다.

 

이에 반해 제약‧케미컬 등 non-바이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1010억원에 그쳤다.  

 

이번 실적에 대해 셀트리온측은 “기존 바이오시밀러 제품과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 매출이 고르게 증가하면서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면서도 “합병 PPA(기업인수가격배분)로 인해 취득한 무형자산의 상각비 발생으로 영업이익은 일시적으로 감소했다"며 "단, 합병으로 인식한 무형자산 중 판권에 대한 상각이 2분기 완료된 만큼 하반기부터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