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6 (수)

  • 맑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6.6℃
  • 박무서울 14.8℃
  • 흐림대전 17.1℃
  • 박무대구 16.5℃
  • 구름많음울산 17.8℃
  • 박무광주 17.3℃
  • 구름조금부산 19.0℃
  • 구름많음고창 18.0℃
  • 구름많음제주 21.6℃
  • 맑음강화 10.5℃
  • 구름많음보은 14.9℃
  • 구름조금금산 15.4℃
  • 구름많음강진군 18.9℃
  • 구름많음경주시 15.2℃
  • 구름많음거제 17.9℃
기상청 제공

은행

[기업탐구] 상장 코앞 케이뱅크…새롭게 유입될 1조 어떻게 쓰이나

이번 상장으로 약 1조원 자본 유입 예상
리테일, SME‧SOHO, 플랫폼 등 세가지 부문 집중성장
시중은행 대비 높은 예‧적금 금리 낮은 대출 금리 이점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이달 중 출범한지 7년 6개월 만에 기업공개(IPO)에 돌입한다.

 

케이뱅크는 상장을 통해 유입될 약 1조원의 자본을 활용해 대출상품의 유형과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리테일, 개인사업자(SME)‧중소기업대출(SOHO), 플랫폼 등 세 가지 부문에 집중해 성장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15일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은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상장 이후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발표하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케이뱅크는 상장을 발판 삼아 고객의 일상생활 속 비대면 금융 혁신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2017년 4월 국내 1호 인터넷은행으로 출범했다.

 

금융권 최초로 100% 비대면 아파트담보대출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비대면 금융 상품을 선보여왔다. 여신 상품의 경우 아파트담보대출 이외 신용대출, 전세대출, 개인사업자 대출 등이 있고 수신 상품은 예‧적금을 비롯해 한도없는 파킹통장 ‘플러스박스’, 자동 목돈 모으기 ‘챌린지박스’, 차별화된 고객경험과 혜택, 편의 요소를 갖춘 ‘생활통장’ 등이 있다.

 

◇ 2021년 첫 흑자전환 성공 후 3년 연속 흑자

 

인터넷전문은행 중 IPO에 나선 곳은 카카오뱅크에 이어 케이뱅크가 두 번째다.

 

케이뱅크의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총 자산은 전년(19조5505억원) 대비 24% 늘어난 24조2844억원이었다. 총여신 잔액(15조6751억원)과 총수신 잔액(21조8530억원)도 각각 24%, 26% 성장했다.

 

케이뱅크는 안정적인 수익성과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2021년 첫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2023년까지 3년 연속 흑자기조를 유지했다. 올해 역시 상반기에만 당기순이익으로 854억원을 달성하며 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금리 경쟁력과 혁신적인 사용자경험(UX)이 성장 동력이 됐다”며 “케이뱅크는 시중은행 대비 낮은 대출금리와 높은 예‧적금 금리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연평균 대출 증가율이 76.8%, 예금증가율이 70%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더불어 수익성도 우수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 말 케이뱅크의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0.3%로 은행권 최초 수준의 비용 경쟁력을 갖췄다. 직원 1인당 충당금 적립 전 이익이 지난해 6억원, 올해 상반기에만 3억4000만원을 기록하며 높은 생산성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말 순이자마진(NIM) 역시 2.26%로 시중은행 평균(1.61%) 보다 높다.

 

◇ IPO로 유입된 자본, 3개 성장전략에 집중

 

케이뱅크는 IPO를 통해 유입된 자본으로 대출상품의 유형과 규모를 확대하고 리테일, SOHO‧SME, 플랫폼 등 세 가지 부문에 집중할 계획이다.

 

먼저 리테일 관련 경쟁력을 갖춘 요구불예금과 고객 니즈에 맞춘 특화 수신 상품을 출시해 주거래은행으로 이용하는 고객을 늘리고, 이를 기반으로 저원가성 예금을 확대해 효율적인 자금 조달 구조를 주축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 최초로 100% 비대면 SME 대출도 내놓을 예정이다. 매출규모, 현금흐름, 업종 등의 데이터를 사용한 맞춤형 신용평가(CSS)모델과 자동화된 담보가치 평가, 주주사의 고객 연계 마케팅 역량 등을 활용해 개인사업자 대출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한다.

 

플랫폼 사업 확대를 위해선 특정 대형 플랫폼이나 제휴사에 의존하지 않고 각 산업 부문의 선도사업자와 다양한 제휴를 통해 제휴 생태계를 구축하는 ‘오픈 에코시스템’ 전략을 앞세워 플랫폼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주식, 채권, 금‧은 등 원자재, 외환 등 전통적인 투자상품부터 대체불가능토큰(NTF), 명품, 예술품 등 새로운 자산과 대체투자 영역을 아울러 투자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위해 투자 전용 플랫폼과 AI 기반 개인화 투자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아울러 건전성 강화 차원에서 CSS 고도화, 댐보대출 비중 확대, 중저신용자 고객 관리 강화 등을 시행하고 인공지능(AI), 오픈 인터페이스(API), 다수공급자계약(MAS) 등 최신 정보통신(IT) 기술의 개발 및 도입에 따른 운영 혁신을 통해 금융권 기술 역량도 강화한다.

 

 

◇ 일반청약 21~22일까지…상장 30일

 

케이뱅크는 오는 16일까지 진행 중인 수요예측을 거친 후 이달 18일 공모가를 확정한다.

 

일반 청약은 21일부터 22일까지며 공모주 투자를 희망하는 투자자는 NH투자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상장일은 오는 30일이다.

 

케이뱅크의 공모 규모는 총 8200만주이며 주당 희망공모가는 9500원~1만2000원으로 희망공모가 범위 상단 기준 공모금액은 9840억원이다.

 

공모 유입 자금에 더해 상장 완료시 7250억원의 과거 유상증자 자금이 추가로 BIS비율 산정 시 자기자본으로 인정받게 될 예정이다. 이번 상장으로 1조원의 이상의 자금 유입 효과가 예상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바람직한 증권과세는 금투세 단일 과세체제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여당의 민생 1호 법안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를 놓고 시장 참여자 간 찬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금투세를 폐지해 증권거래세 단일체제로 전환해야만 주식시장을 살려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금투세 도입에 찬성하지만, 금투세 폐지 여론이 높다 보니 여야가 합의했던 금투세 법안을 밀어붙이지 못하고 전전긍긍하는 모양새다. 기재부의 기본 계획은 대주주 주식양도세 부과기준을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하향한 후, 금투세 전면 과세체제로 전환하겠다는 것이었다. 금투세 단일체제가 바람직한 증권과세 체제이지만, 현행법안은 청년세대 등 일반투자자의 계층 열망을 담아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대주주 주식양도세가 사실상 폐지된 상황에서 금투세마저 폐지되면, 주식시장이 대주주나 자본권력의 조세피난처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일단 금투세 도입을 유예하고, 금투세 부과기준을 대폭 상향하고, 금투세와 연계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금투세가 도입되면, 세수의 원천이 개인투자자인 증권거래세는 온전하게 폐지하는 것이 맞다. 주식시장
[인터뷰]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 “세무회계 전문가, AI활용으로 더욱 고도화된 역할 감당해야”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8월 26일 홀리데이인 인천송도 호텔에서는 ‘2024 인천지방세무사회 회직자 워크숍’이 열렸다. 상생과 화합을 다짐하는 이 자리에서는 ‘회직자가 알아야 할 회무 관련 규정’, ‘온라인 전자투표’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등의 다양한 주제 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취재를 하면서 생성형 AI를 대표하는 ChatGPT 등을 세무회계 전문가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고, 또 앞으로 어떤 또 다른 미래가 다가올까에 관심이 더해졌다. 이날 ‘GPT를 활용한 전문직의 미래’ 강의는 인성회계법인 이종헌 회계사가 맡았다. 가장 먼저 소개한 것은 AskUp(아숙업)이다. 카카오톡 채널인 아숙업을 통해 ChatGPT 무료 버전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필자도 바로 채널을 추가해서 활용해 봤다. 변화하는 세상이 한 걸음 더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이종헌 회계사를 만나 워크숍 참석한 세무사들의 반응과 함께 세무회계 전문가들이 앞으로 어떻게 AI를 대비하는 게 좋을까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강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많은 세무사가 AI, 특히 GPT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셨어요. 질의응답 시간에는 실제 업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